서울

[서울 강북구] 윤극영가옥

대한민국 관광지 정보 2025. 1. 15. 17:59
반응형

윤극영가옥


- 홈페이지
https://yoonky.modoo.at/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인수봉로84길 5 (수유동)

서울특별시에선 근현대 문화유산 중 미래 세대에게 전달할만한 가치가 있는 보물을 ‘서울 미래유산’으로 선정·관리하고 있다. 국립 4·19 민주묘지, 문익환 가옥 등이 여기에 꼽혔는데, 윤극영 가옥은 그 가운데 가장 먼저 선정됐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1920~30년대에 활발하게 활동했던 윤극영은 동요 ‘반달’, ‘설날’, ‘우산 셋이 나란히’, ‘고드름’ 등을 작곡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동요집인 ‘반달’을 제작해 '반달 할아버지'로도 불린다. 생전에 그가 머물렀던 가옥은 현재 반달 문화원으로 쓰이며 방문객들을 반갑게 맞이한다. 윤극영의 유품들이 전시된 공간은 오랜 세월의 흔적이 더해져 마치 할아버지댁에 온 것처럼 마음이 편안해진다. 은은하게 흐르는 동요 멜로디는 어린 시절 추억을 떠올리게 만든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70-8992-9720

- 쉬는날
매주 월요일, 설·추석 당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 화~토요일 10:00~18:00
- 일요일/공휴일 10:00~17:00

- 주차시설
불가능





◎ 입 장 료
무료





서울강북_윤극영가옥 (2)서울강북_윤극영가옥 (3)서울강북_윤극영가옥 (4)서울강북_윤극영가옥 (7)서울강북_윤극영가옥 (8)서울강북_윤극영가옥 (10)서울강북_윤극영가옥 (12)서울강북_윤극영가옥 (14)서울강북_윤극영가옥 (16)서울강북_윤극영가옥 (5)서울강북_윤극영가옥 (6)서울강북_윤극영가옥 (9)서울강북_윤극영가옥 (11)서울강북_윤극영가옥 (13)서울강북_윤극영가옥 (15)





◎ 주위 관광 정보

⊙ 이설함흥냉면


- 홈페이지
http://ojanghhcn.fordining.kr/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 42

이설함흥냉면은 서울 수유동 4.19탑 공원 앞에 위치한 30년 이상 된 냉면집이다. 1층과 2층으로 운영 중이며, 150석의 대형 공간으로 가족 모임이나 각종 행사, 단체 회식 장소로 적합하다. 속이 뻥 뚫리는 시원한 물냉면과 매콤 달콤한 비빔냉면, 회가 올라간 회냉면이 인기메뉴이다. 이곳은 냉면 전문점이기도 하지만 단연 일품요리인 서울옛날불고기, 시원한 국물의 왕갈비탕, 달콤 짭짤한 왕갈비찜 등 다양한 메뉴를 판매하고 있다.

⊙ 밀콩제면소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2길 1-2 (수유동) 1층

밀콩제면소는 4.19 민주묘지역과 4.19 민주공원 근처에 위치한 서리태 콩국수와 칼국수 맛집입니다. 직접 담근 김치와 함께 제공되는 서리태 콩국수는 국산 콩으로 만들어 고소하고 시원한 맛이 일품이며, 칼국수는 깔끔하고 시원한 국물이 특징입니다.성게알 칼국수, 해물파전, 김치만두 등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며, 여름에는 콩국수, 겨울에는 칼국수를 즐기려는 방문객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주차와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곳입니다.

⊙ 4.19학생혁명기념탑


- 홈페이지
http://419.mpva.go.kr/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8길 17 (수유동)

4.19학생혁명기념탑은 국립4.19민주묘지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높이 21m의 화강석 탑주 7개로 구성되어 있다. 1960년 4월 불의와 독재에 항쟁하다가 희생된 4·19혁명 희생정신을 기리고자, 1962년 3월 23일 재건국민운동본부안에 각계각층을 망라한 기념탑건립위원회를 구성하고,1962년 11월 21일에 기공하여 전국민의 성금과 국고보조로 1963년 9월 20일 제막식을 거행하였다.

(출처 : 국립4.19민주묘지 홈페이지)

⊙ 국립4.19민주묘지


- 홈페이지
www.mpva.go.kr/419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8길 17

삼각산(북한산) 기슭의 국립 4.19 묘지는 1960년 3·15 부정선거를 자행한 권력에 맞서다 1960년 4.19 혁명 때에 희생된 224분이 안장되어 있으며 이를 기리는 기념탑이 세워져 있다. 기념탑 중앙에는 의롭게 죽어간 이들을 기리는 탑문이 새겨져 있다. 135,901m²의 묘지 경내에는 소나무와 향나무, 주목과 단풍나무 등으로 아담하게 꾸며져 있으며, 1,652.9m² 규모의 기념관과 영정을 모신 유영봉 안소는 한식 목조건물이 330.58m² 규모로 확장되어 있다. 그 외에 상징문, 민주의 뿌리, 정의의 불꽃 등 조각 작품과 연못이 있으며, 보도블록을 예쁘게 깔아 놓은 산책로와 야외 의자도 있다. 벚꽃이 피는 5월, 공원에서 바라보는 삼각산(북한산)은 어머니 품과 같은 아늑함과 화려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으며, 일몰의 풍경은 장관이다.

⊙ 대보명가


-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 69

대보명가는 4.19 민주묘지역 2번 출구에서 800여 m 거리에 있다. 이곳은 약과 음식은 근본이 같다는 신념으로 질 좋은 재료들을 철저하게 관리하여 건강식을 내는 음식점이다. 우리의 건강한 음식문화를 바로잡고 알리고자 가성비 음식에 직접 만든 건강에 좋은 발효식품들도 맛볼 수 있다. KBS 2TV 생생정보 등에서 소개된 대보명가의 대표메뉴는 제천약초밥이고, 제천약초쟁반, 제천약초 떡갈비, 오곡전도 별미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쎄쎄


- 쎄쎄
02-908-5640

-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 532

화교가 운영하는 매장이다. 대표메뉴는 탕수육이다.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중식전문점이다.

⊙ 서당골

- 서당골시골집
02-900-7797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한천로 1154

수유리에 위치한 서당골시골집은 이름 그대로 벽은 한지로 도배하고 시골 창호지 문을 그대로 재현해 놓은 시골집이다. 천장이 낮아서 방 입구마다 머리조심이라는 글씨가 큼직하니 쓰여 있어 음식점이라기보단 고향 시골집에 들러 어머니가 차려주시는 밥을 먹는 듯한 푸근함을 느끼게 한다.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서당골 정식이다. 시래기나물, 된장찌개, 콩비지찌개, 물김치, 나물류 등 토속적인 반찬이 한상 가득 차려진다.

⊙ 강북문화원


- 홈페이지
강북문화원 http://www.gbculture.or.kr/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로 85 (수유동)

강북문화원은 강북구 지역의 역사와 문화의 숨결 등 다양한 문화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소귀골음악회는 4.19 민주화 혁명 희생 영령들을 추모함과 동시에 관내 구민들에게 민족정체성을 일깨우고 건전한 시민문화를 육성하는데 그 취지가 있다. 3·1독립운동 재현행사와 삼각산 축제, 한가위한마당 등 우리의 역사와 전통을 되새겨보는 행사를 매년 진행하고 있으며 문화탐방과 어린이 예절교육, 관내 문화탐방(우리 고장 역사 문화 알기) 등의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사군자, 민요, 민화, 서양화, 한국무용, 댄스스포츠, 가요교실 등의 다양한 문화강좌도 개설, 주민들의 여가선용은 물론 문화, 예술인구의 저변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강북문화원은 수도권 지하철 4호선 수유역에서 강북문화예술회관으로 가는 버스를 타거나 우이신설 가오리역 2번 출구에서 국립재활원 방면으로 도보 3분 이동하면 방문할 수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북한산 둘레길] 2 순례길


- 홈페이지
http://www.knps.or.kr

-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우이동)

북한산 둘레길은 기존의 샛길을 연결하고 다듬어서 북한산 자락을 완만하게 걸을 수 있도록 조성한 저지대 수평 산책로이다. 사람과 자연이 하나 되어 걷는 둘레길은 물길, 흙길, 숲길과 마을길 산책로의 형태에 각각의 21가지 테마를 구성한 길이다.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둘레길은 우리의 소중한 자연을 보존하는 길, 그리고 역사와 문화, 생태를 체험할 수 있는 길이다.

‘북한산 둘레길’ 순례길 구간은 솔밭근린공원 상단부터 이준열사묘역 입구까지 2.3km에 이른다. 독립유공자 묘역이 조성되어 있는 구간으로, 우리 조상의 불굴의 독립정신을 느낄 수 있는 구간이다. 헤이그밀사인 이준열사와 초대부통령이신 이시영선생의 묘소, 조국을 위해 꽃다운 청춘을 바친 17위의 광복국 합동 묘소 등 모두 12기의 독립유공자 묘역이 조성되어 있으며,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이 잠들어 계신 4.19 민주묘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조상의 지혜가 담긴 자연친화적 다리인 섶다리와 계곡쉼터가 있어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구간이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