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경상북도 안동시] 월영교

대한민국 관광지 정보 2025. 4. 24. 17:36
반응형

월영교


- 홈페이지
https://www.tourandong.com/

- 안동시립민속박물관
054-821-0649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상아동 569

월영교란 명칭은 시민의 의견을 모아 댐 건설로 수몰된 월영대가 이곳으로 온 인연과 월곡면, 음달골이라는 지명을 참고로 확정되었다. 낙동강을 감싸듯 하는 산세와 댐으로 이루어진 울타리 같은 지형은 밤하늘에 뜬 달을 마음속에 파고들게 한다. 월영교는 이런 자연 풍광을 드러내는 조형물이지만, 그보다 이 지역에 살았던 이응태 부부의 아름답고 숭고한 사랑을 오래도록 기념하고자 했다. 먼저 간 남편을 위해 아내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한 켤레 미투리 모양을 이 다리 모습에 담았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 예능 <나는 솔로>
16기 영식, 현숙이 한복을 입고 산책을 즐기던 장소다. 야간 조명으로 한층 로맨틱해진 분위기 덕분인지, 두 사람은 상대방을 향한 자신의 마음을 다시 한 번 확신했다. 영식, 현숙처럼 달밤 산책을 즐겨도 좋지만, 호수 위를 유유히 떠다니는 문보트를 타고 강 위에서 월영교 풍경을 감상하면 특별한 추억을 남길 수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안동시립민속박물관 054-821-0649

경상북도 종합관광안내소 054-852-6800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주차시설
가능





◎ 이용가능시설
팔각정, 점핑날개곡사분수 등

[분수쇼]

일시 : 매주 토,일 오후 12:30 / 18:30 / 20:00

가동시간 : 20분

점등시간 : 20시

부대시설 : 팔각정, 점핑날개곡사분수, 조명시설, 계수기등



◎ 화장실
있음



◎ 한국어 안내서비스
없음





월영교월영교_01월영교_02월영교 (2)월영교 (4)월영교 (5)경북_안동_열대야 날려줄 달빛 야행, 안동 월영교와 낙동강음악분수_05경북_안동_열대야 날려줄 달빛 야행, 안동 월영교와 낙동강음악분수_06월영교월영교 (3)





◎ 주위 관광 정보

⊙ 안동시 월령빠지

- 홈페이지
없음

- 전화번호
010 2529 0888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석주로 202 (상아동)

⊙ 삼일가든


- 삼일가든
054-859-1887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석주로 207

얼큰한 민물매운탕이 유명하다. 대표메뉴는 쏘가리탕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 헛제사밥(맛50년)

- 헛제사밥(맛50년)
054-821-2944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석주로 201 (상아동)

국내에서 크게 유행하는 헛제사밥을 상품화한 사람으로 헛제사밥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예전엔 안동댐 민속박물관 내 야외 민속박물관(초가)에서 운영하다 2001년 집을 신축하여 현재의 자리에서 운영하고 있다. 작고하신 시어머님에 이어 현재는 며느리까지 전수받아 3대에 걸쳐 50년 이상을 식당 운영에만 전념하고 있으며, 큰 아들은 무형유산 69호인 하회별신굿 탈놀이의 기능보유자(인간문화재)로 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 헛제사밥까치구멍집

- 헛제사밥까치구멍집
054-855-1056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석주로 203

까치구멍집이라는 독특한 이름을 갖고 있는 경북 안동의 헛제사밥까치구멍집은 예전부터 양반촌이라는 이미지를 살려 대청마루가 쭉 둘러져 있어 마치 드라마 세트장이나 안동의 어느 양반집에 들어온 기분을 느낄 수 있다. 헛제사밥의 유래는 안동에선 전통적으로 조상들을 기리는 제사가 많아서인지 제삿밥이 맛있어서 일반 손님들에게 제사 음식으로 손님을 대접하는 경우가 많아 헛제사밥이라 유래된 듯하다. 제사 음식이라 상차림이 화려하진 않지만 밥과 국, 나물, 그리고 전과 구이류 등이 차려져 나오는데, 조미료의 맛을 최소화하고 천연재료를 주로 사용하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음식 제조 방법을 써서 그런지 정갈하고 담백한 맛이 일품이다.

⊙ 이정식당


- 이정식당
054-852-2478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석주로 191

2대째 운영중인 30년 전통의 표고버섯 전골 전문점이다.

⊙ 호반정


- 호반정
054-853-9449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석주로 217

닭에 온갖 채소와 간장양념을 졸인 요리다. 대표메뉴는 찜닭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 안동 석빙고

- 홈페이지
안동시 문화관광 https://www.tourandong.com/public/
국가유산청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3 (성곡동)

석빙고는 얼음을 저장하기 위해 돌을 쌓아 만든 창고이다. 안동석빙고는 원래 예안면 소재지에서 청량산 방향 도로로 약 1.2㎞ 되는 산기슭에 있었으나 안동댐 건설로 인해 이곳 안동민속박물관 경관지 내에 옮겨오게 되었다. 안동 석빙고는 낙동강에서 많이 잡히는 은어를 왕에게 올리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조선 영조 13년 (1737)에 지어졌다.예안읍지(禮安邑誌)에 현감 이매신이 돌로 얼음 창고를 축조하여 매년 지붕을 잇는 수고를 덜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으로 이매신이 예안현감으로 재직 중이던 때 안동 석빙고가 축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석빙고의 형태는 동·서로 흐르는 낙동강 기슭의 넓은 땅에 강 줄기를 향하여 남북으로 길게 누워 있으며, 입구는 특이하게 북쪽에 옆으로 내었다. 안으로 계단을 따라 들어가면 밑바닥은 경사져 있으며, 중앙에는 물이 강으로 흘러가도록 만든 배수로가 있다. 천장은 길고 크게 다듬은 돌들을 무지개 모양으로 틀어올린 4개의 홍예(虹霓)를 세워 무게를 지탱하도록 하고, 각 홍예 사이는 긴 돌들을 가로로 채워 마무리하였다. 천장 곳곳에 환기구멍을 두었는데, 이는 안의 기온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으로 바깥까지 연결하였다. 전체적으로 규모는 큰 편은 아니나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 와룡가든


- 와룡가든
054-859-0085, 0038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석주로 231

안동댐 내 인도교 주차장 옆에 위치하는 와룡가든은 안동댐 공사와 더불어 영업을 시작한 안동댐 원조 매운탕 (자연산 전문) 업소이다. 다양한 민물고기요리를 즐길 수 있다.

⊙ 뮤즈


- 뮤즈
054-841-2573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석주로 231

월령교를 보면서 수제 돈가스를 먹을 수 있다. 클래식한 인테리어와 엣날 경양식 돈까스를 먹을 수 있다. 반찬 가지수가 많아 대접받는 느낌이며 주차공간도 풍부하다. 커피를 후식으로 제공하며 카페도 같이 운영한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