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왕산국립공원
- 홈페이지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공원길 169-7
1972년 5월 30일 관광지로 지정된 후 1976년 3월 30일, 1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공원의 총면적이 105,582㎢로 행정구역상으로 청송군과 영덕군의 2개군 5개 면에 걸쳐있고 북쪽에는 설악산과 오대산, 남쪽에는 경주, 서쪽에는 속리산과 덕유산 등의 국립공원이 인접해 있으며 태행산, 두수람, 가메봉 등의 봉우리 외에도 주방계곡, 절골계곡, 월외계곡 등이 산재되어 있다.
수백 미터 돌덩이가 병풍처럼 솟아있어 신라 때는 석병산이라 부르다가 통일신라 말엽부터 주왕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주왕산은 4군데의 폭포 외에 동굴, 대전사 및 부속 암자들이 있어 천혜의 관광자원이 많은 곳이라고 할 수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4-870-5300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탐방로 입산시간]
- 동절기(11~3월) 05:00~14:00
- 하절기(4~10월) 04:00~15:00
[상의자동차야영장]
- 야영장 15:00~익일 12:00
- 카라반 15:00~익일 11:00
- 주차시설
가능
- 체험안내
가메봉코스 / 주왕계곡코스 / 주봉코스 / 절골코스 등
◎ 자연휴식년제 구역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기암교∼자하교(수달래군락지) 40,000㎡, 2026년까지
◎ 화장실
있음
◎ 이용가능시설
상의야영장, 상의탐방지원센터, 갓바위탐방지원센터, 절골분소, 영덕분소 등
◎ 주차요금
[정액요금]
- 경형(1000cc미만) : 2,500원
- 중소형(승용 1000cc이상/승합차 35승 미만/화물차 1톤 미만) : 비수기 4,000원 / 성수기 5,000원
- 대형(승합차 36인승 이상/화물차 1톤 이상) : 비수기 6,000원 / 성수기 7,500원
※ 정기버스 무료(정기주차 제외)
◎ 시설이용료
[상의자동차야영장]
- 1박, 1구역 기준 : 주중 15,000원 / 주말 및 집중수요기간 19,000원
- 카라반(4인, 1박) : 주중 60,000원 / 주말 80,000원
◎ 주위 관광 정보
⊙ 주왕산청솔식당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공원길 164 청솔식당
주왕산청솔식당은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에 있다.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투데이에 소개된 바 있다. 깔끔한 외관과 예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산채 더덕구이 정식이다. 이 밖에 달기약수 토종닭백숙, 달기약수 황기백숙, 달기약수 흑미토종백숙, 달기약수 오리백숙, 닭볶음탕 등을 맛볼 수 있다.
⊙ 상의자동차야영장
- 홈페이지
https://res.knps.or.kr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공원길 146
주왕산국립공원의 대표 경관인 기암(마치 깃발을 꽂아놓은 듯한 바위) 아래 위치한 상의오토캠핑장은 가족단위 캠핑 활동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춘 캠핑장이다.자동차 야영지가 60동 조성되어 있으며 전기 사용이 가능하다. 부대시설로는 샤워장(온수 사용 가능), 음수대, 다목적운동장 및 야영장 무대 등이 있다.
⊙ 주왕계곡코스
- 홈페이지
http://juwang.knps.or.kr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공원길 219
주왕산의 기암괴석과 멋진 병풍절벽을 계곡을 끼고 감상하며 탐방할 수 있는 구간으로 특히 가을철 단풍과 어우러진 주왕계곡은 절경을 이룬다. 대전사에서 용추폭포까지의 주왕계곡길은 약 2.2km거리로 폭포 마지막구간 100m를 제외하고는 부드러운 마사토 포장으로 조성되어 있다. 코스 중간 중간 공중화장실, 휴게 공간 등이 조성되어 있어 편히 쉬면서 천천히 탐방할 수 있는 탐방로 이다. 한국관광공사 선정 ‘추천걷기 여행길’에 선정된바 있다.
⊙ 대전사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공원길 226
이 건물은 신라 문무왕(文武王) 12년(672)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처음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임진왜란 때 불타 조선 현종(顯宗) 13년(1672)에 새로 지어 현재 사찰의 중심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1976년에 보광전을 고칠 때 1662년의 상량문(上樑文)이 발견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자그마한 건물로 천장은 ‘井’자 모양으로 꾸몄으며, 내부에 비로자나불(毘盧子那佛)을 모시고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연화굴
- 홈페이지
https://csgeop.cs.go.kr/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공원길 346
연화굴은 중생대 백악기 화산 폭발로 분출한 화산재가 두껍게 쌓이고 굳어져서 만들어진 주왕산 응회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암석에 다양한 방향의 틈이 발달한다. 암석에 생긴 틈을 절리라고 하며, 절리의 방향이 수직일 때 수직절리라고 부른다. 특히 연화굴에 발달한 수직절리는 간격이 좁기 때문에 풍화로 인해 암석이 떨어져 나오기 쉬웠고, 그 결과 작은 굴이 만들어졌다. 강우 시에 지표수가 굴 뒤편의 틈을 따라 흐르면서 암석을 빠르게 침식시켰고, 굴이 확대되어 지금의 연화굴이 만들어졌다.
(출처 : 국가지질공원)
⊙ 기암 단애
- 홈페이지
https://csgeop.cs.go.kr/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공원길 346
주왕산 일대에서는 아홉 번 이상의 화산폭발이 있었다. 뜨거운 화산재가 쌓이고 끈적끈적하게 엉겨 붙으면서 굳어졌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암석이 용결응회암이다. 기암 단애가 바로 이 용결응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뜨거운 용결응회암이 급격히 냉각될 때 수축이 일어나면서 세로로 틈이 생겼는데, 이것이 침식을 받아 지금과 같은 단애를 이루게 된 것이다. 주왕의 군사가 이곳에 깃발을 꽂았다는 전설에 따라 기암(旗岩)이라 부르게 되었다.
(출처: 청송군 문화관광)
⊙ 급수대 주상절리
- 홈페이지
https://www.cs.go.kr/tour.web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공원길 346
주왕산국립공원을 이루고 있는 대표 암석은 응회암이다. 응회암은 화산폭발 때 뿜어져 나온 화산재가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이다. 그리고 주상절리는 암석이 기둥 모양으로 갈라진 형태를 말하며 용암이나 화산재가 빠르게 식어 부피가 수축하면서 만들어진다. 급수대 주상절리는 화산재가 식으면서 만들어진 주상절리로, 주왕산의 많은 응회암 절벽 중 주상절리가 가장 뚜렷하게 발달한 곳이다. 급수대라는 이름은 신라 귀족 김주원이 주왕산으로 피신해 절벽 위에 대궐을 짓고 두레박으로 주방천의 물을 퍼 올렸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 용연폭포
- 홈페이지
https://csgeop.cs.go.kr/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용연폭포는 2단 폭포로 구성되며, 주왕산의 폭포 중 가장 크고 웅장한 규모를 자랑한다. 또한 두 줄기의 낙수 현상으로 인해 쌍용추폭포라고도 불린다. 1단 폭포의 양쪽 단애면에서 각각 3개의 하식동을 관찰할 수 있다. 폭포가 형성되고 발달하면서 침식에 의해 폭포 면이 차츰 뒤로 밀려나가게 되었다. 지금의 폭포 면에서 가장 먼 부분의 하식동이 가장 먼저 만들어졌고 폭포가 차츰 후퇴하면서 두 번째, 세 번째 하식동이 만들어졌다.
(출처: 청송군 문화관광)
⊙ 주방천 페퍼라이트
- 홈페이지
https://csgeop.cs.go.kr/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페퍼라이트’란 용암 혹은 마그마가 바다나 호수의 퇴적물, 혹은 아직 단단하게 굳지 않은 퇴적물과 만날 때 급격하게 식으면서 깨진 조각들이 퇴적물과 뒤섞이면서 만들어진 암석이다. 마치 수프에 후추를 뚜린 듯한 모양이라 해서 후추의 페퍼(pepper)와 암석(-rite)이 합쳐져 페퍼라이트란 이름이 붙여졌다. 주왕산 국립공원 입구에서 용추폭포까지 현무암 속에 붉은색 암석 파편들이 포함된 페퍼라이트를 관찰할 수 있다.
(출처 : 청송세곋지질공원)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 1. 2. 3 폭포 (0) | 2025.03.31 |
---|---|
[경상북도 청송군] 달기약수탕 (청송 국가지질공원) (0) | 2025.03.31 |
[경상북도 안동시] 안동 하회마을 [유네스코 세계유산] (4) | 2025.03.28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신화랑풍류마을 (2) | 2025.03.27 |
[경상북도 의성군] 운람사(의성)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