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군위군

[대구 군위군] 남계서원 남계서원 - 홈페이지 https://www.gunwi.go.k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대북길 9군위군 군위읍 대북리에 있는 남계서원은 조선 중기의 문신 류성룡(1542~1607년)과 이호민(1553~1634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기 위해 1581년(선조 14) 3월에 창건되었다. 류성룡이 1583년(선조 16) 경상도 관찰사로 있을 때 남계서당을 건립하였는데, 1607년 세상을 떠난 뒤 1621년(광해군 13) 후학들이 중수하고 서애의 위패를 모셨으며, 남계서원으로 승격시켰다. 이후 1787년(정조 11)에 이호민을 추가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에 전국의 서원을 일제히 정리하고 철폐함에 위패는 하회로 옮겨 모시고 서당으로 격하되었으며 6.25 사변으로 소실되었다. 1990년.. 더보기
[대구 군위군] 효령사(장군당) 효령사(장군당) - 홈페이지 https://www.gunwi.go.k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장군당1길 35-1효령사는 김유신의 삼국통일을 이룩한 업적을 기리어 만들어진 것이라 할 수 있고, 또 삼국통일 자체의 의미를 후세에 높이 새기게 하는 곳과 관련이 있다. 아울러 함께 봉안하고 있는 소정방, 이무 등이 중국의 당인임을 볼 때 당시의 전반적인 시대배경을 알 수 있다. 또한 야사에 의하면 김유신, 소정방, 이무의 삼장군이 지금의 장군동 근처에서 회동하게 되었으며, 장군봉에 지휘소를 세우고 기거하면서 백제를 정벌할 작전을 수립하여 백제를 치고 대업을 이룬 뒤 삼장군은 다시 효령에 들러 장군봉에 올라 "이제 삼국 통합이 되었으니 안심하고 살아라"라고 주민에게 말했다고 전한다. 그리고 고려말 사.. 더보기
[대구 군위군] 한밤마을돌담길 한밤마을돌담길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군위군 한밤마을은 팔공산 북쪽 자락에 위치해 있어 경치가 수려하고 마을 전체의 집들이 북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이 특별하다.마을의 대부분은 전통 한옥 구조로 지어졌으며 담장은 경오년(1930년) 대홍수로 떠내려 온 돌들을 이용하여 축조한 돌담으로 그 길이를 이으면 6.5Km가 된다고 하여 ‘육지의 제주도’라고도 불린다.전체적으로 이 지역에서 채집된 강돌로 자연스럽게 축조된 돌담은 전통가옥들과 조화를 이루고 있고 곡선형의 매우 예스러운 골목길의 정취를 자아내고 보존 또한 잘 되어 있다.골목길에 위치한 ‘군위 대율리 대청’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62호로 조선 전기에 세워졌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서 없어지고 인조 10년에 다시 지어져 학교처럼 사용하다가 .. 더보기
[대구 군위군] 팔공산국립공원(군위군) 팔공산국립공원(군위군) - 홈페이지 https://www.gb.go.k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 산성면 백학리, 효령면 매곡리한반도의 척추인 태백산맥이 남으로 힘차게 뻗어 낙동강과 금호강이 만나는 곳에 우뚝 높이 솟아 병풍처럼 둘러쳐진 팔공산(1192.3m)은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명산으로 꼽혀 왔으며, 옛사람들은 이 산세가 삼존불, 즉 세 부처님의 형상이라 하여 신령스러운 영산으로 믿어왔다.팔공산의 상층부는 화강암이 기묘한 모습으로 노출되어 높고 웅장한 산세를 이루고 있으며 골짜기마다 절묘한 암벽과 어우러진 울창한 숲은 명산의 위세를 더해 주고 있다. 팔공산은 1980년 5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경상북도에 속해 있었으나, 대구가 승격되면서 지금은 대구광역시 동구, 군위군 부계면, .. 더보기
[대구 군위군] 화본마을 화본마을 - 홈페이지 http://화본마을.com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산성면 산성가음로 722화본마을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산성면 화본리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다. 군위는 삼국유사의 고장이라고 불리고 있는데 일연스님이 이곳에서 삼국유사를 집필하여서 화본마을에는 삼국유사의 내용을 담은 벽화가 마을 곳곳에 그려져 있다. 또한 이 곳에는 전국 네티즌이 뽑은 가장 아름다운 간이역인 화본역이 있으며, 화본역은 화본리에 위치한 중앙선의 역이다. 한국철도공사 선정 준철도기념물로 지정되어 있고, 현재 무궁화호 열차가 운행되고 있어 서울과 부산을 오고 갈 수 있다. 아울러 화본마을엔 폐교를 리모델링하여 1970년대 마을을 재현해 놓은 문화공간인 '엄마아빠 어렸을 적에'라는 전국적으로 알려진 공간이 있어 옛날교실체험,.. 더보기
[대구 군위군] 의흥향교 의흥향교 - 홈페이지 http://www.gunwi.go.kr/tourhttp://www.cha.go.k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의흥면 읍내길 89-5군위군 의흥군에 있는 의흥향교는 1398년(태조 7) 조선 인종 때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조선시대의 국립교육기관이다. 임진왜란 때 건물은 모두 소실되었으나, 이곳 유림 손돈암이 위패를 선암산으로 피난시켜 병화를 면하였고 이에 경상북도에서 오직 이 향교만이 당초 그대로의 위패를 보존하고 있다. 1601년(선조 34)에 중건하고 1641년(인조 19)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면서 이 때 대성전이 세워졌다. 1950년 6·25사변으로 삼성재, 노사 등이 소실되었으며, 1968년에 광풍루를 중수하였다... 더보기
[대구 군위군] 화계서원 화계서원 - 홈페이지 https://www.gunwi.go.kr/tou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의흥면 금양3길 16-3화계사라고도 불리는 화계서원은 조선의 학자 돈암공 손기남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영조 2년(1726)에 창건되었다. 고종 5년(1868)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광무 1년(1897) 손기남의 업적이 잊히는 것을 안타까워했던 당시 의흥군수 신태철에 의해 복원됐다. 현재 생존해 있는 밀양손씨 후손들의 구전에 의하면, 서원 철폐 당시 집마다 화계서원의 기둥과 대들보 및 석가래 등 주요 목재를 감추어 두었다가 새로 복원하여 숭덕사 모성당으로 개칭해 현재까지 보존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밀양손씨 돈암공파 종중에서 소유와 관리를 맡고 있으며, 매년 음력 3월 첫째 일요일에 .. 더보기
[대구 군위군] 군위향교 군위향교 - 홈페이지 https://www.gunwi.go.kr - 주소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동서2길 17-28군위향교는 조선 전기에 군위군 동부리 마정산에 처음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고 선조 40년(1607) 당시 영의정이었던 류성룡과 군위 출신의 학자 이오봉이 선방산 남쪽으로 자리를 옮겨 지었다. 그리고 숙종 27년(1701) 지금의 위치로 이전했다.현재 대성전, 명륜당, 광풍루, 동재, 서재, 내삼문 등의 건물이 남아있다. 대성전 안에는 공자를 비롯해 그 제자와 우리나라 성현을 합쳐 27명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명륜당에는 보호수로 지정된 수령 270년의 은행나무가 있고 2층 누각인 광풍루에서 내려다보는 향교의 풍경은 절경이다. 향교 옆에는 유림들의 회관으로 쓰이는 함덕당 건물이 있..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