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계서원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천본리 55-1
오계서원은 1570년(선조 3)에 이덕홍(李德弘)이 학문 연마와 심신수련을 위해 건립한 「오계정사」의 후신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인하여 소실(燒失)되었으나, 1595년(선조 28)에 쌍계(雙溪) 언덕으로 이건(移建) 하였고, 1636년(인조 14)에 홍수로 유실되는 등, 여러 차례 이건과 중건을 거쳤다. 사림의 공론으로 1665년(현종 6) 10월 2일에 도존사(道存祠)를 建立하고 이덕홍(李德弘)의 위패를 봉안한 후 1691년(숙종 17) 오계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699년과 1707년의 대홍수로 물길이 바뀌어 서원이 침수 피해가 있자 1711년(숙종 37)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1724년(경종 4)에 그의 장자 이시(李蒔)를 배향하였다. 1871년(고종 8)에 훼철되었다가 1919년에 복향하였고 1978년에 道存祠를 재건하였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영주시 문화예술과 054-639-6583
- 쉬는날
연중무휴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주차시설
가능
◎ 주위 관광 정보
⊙ 이산서원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내림로 106-43
이산서원은 영주지역에서 처음 세워진 서원이다. 예부터 영주는 문예를 숭상하는 기운이 높았으나 학업을 연마한 관사가 없어 매번 고을의 의원을 빌려 사용하였다. 새로 부임한 군수 안상이 마을 선비들과 부로들의 뜻을 수렴하여 1558년(명종 13)에 퇴계 이황 선생의 자문을 받아 군 동쪽 5리 번고개에 이산서원을 건립하였다. 강당을 경지당, 동재를 성정재, 서재를 진수재, 문을 지도문, 대를 관물대라 퇴계 이황이 명명했다. 1572년(선조 5) 최초로 묘우를 세우고 이황의 위패를 봉안하였으며, 1574년(선조 7) 사액을 받았다. 그 후 1614년(광해군 6) 현재의 위치에 이건 하였으며, 1871년 훼철되었다가 1936년 경지당과 지도문만 복원하였다.
⊙ 방산서원
- 홈페이지
http://www.grandculture.net/yeongju
- 주소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영봉로329번길 143-9 (이산면)
영주시 이산면 용상리에 있는 방산서원은 1633년(인조 11)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옥천전씨 가문의 현조인 전희철(1425~1521), 전익희(1598~1659), 전명룡(1606~1667)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훌륭한 유학자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38년에 복원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경내 건물로는 경절사, 망일당, 휴계재, 주소 등이 있다. 사우인 경절사에는 전희철을 주벽으로 좌우에 전익희와 전명룡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고, 강당인 망일당은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데, 원내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 강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서원 주변에는 옥천전씨 가문과 관련된 유적들이 분포하고 있다. 먼저 서원의 아래에는 칠성루 및 휴계재사가 있고, 왼쪽으로 2001년에 건립된 [설월당전선생신도비]가 있으며, 이 밖에 전희철을 비롯해 옥천전씨 선조들의 묘소가 주변에 분포하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경주시] 분황사 청보리밭 (0) | 2025.09.17 |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향교 (1) | 2025.09.10 |
[경상북도 봉화군] 구만서원 (0) | 2025.09.10 |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0) | 2025.09.08 |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숲머리먹거리촌 (1) | 2025.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