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봉사

- 홈페이지
https://www.gwgs.go.kr/tou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건봉사로 723
금강산 건봉사는 금강산 줄기가 시작되는 감로봉 동남쪽 자락에 자리한 오래된 사찰로, 석가모니의 치아 진신 사리를 모시고 있다. 한때 3,183칸에 달하는 대규모 사찰이었으나 한국전쟁 때 불이문만 남기고 모두 사라졌다. 1994년부터 복원 작업을 시작하여 현재의 모습에 이르렀다. 임진왜란 때 승려들이 승병을 조직한 곳이자 일제강점기 때 항일독립운동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한 호국사찰이기도 하다.
신라 법흥왕 7년(520)에 승려 아도가 원각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이곳에 절을 지었다고 한다. 신라 경덕왕 17년(758)에 승려 발징이 절을 고쳐 짓고 1만 일 동안 염불을 외우며 수행하는 만일회를 열었으며, 이 모임은 우리나라 염불만일회(극락정토의 왕생을 기원하며 만일동안 염불하는 불교 의식)의 시초가 되었다.
이후 고려 공민왕 7년(1358)에 나옹화상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조선 세조 2년(1456)에 임금이 행차하여 이곳을 왕실의 안녕을 비는 왕실 원당(개인의 안녕이나 명복을 빌기 위해 위패나 초상화를 모신 사찰 혹은 사찰 내 전각)으로 삼고 역대 왕들의 위패를 모시는 어실각을 지으며 큰 사찰이 되었다. 조선 고종 15년(1878)에 불이 나 모두 타버려 이듬해 다시 고쳐 지었다.
대한제국 광무 10년(1906)에 개화사상 및 신문물 교육을 위한 봉명학교를 설립하여 관동지역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으나 일제에 의해 강제로 폐교되었다. 1911년에는 9개 말사를 거느린 31본산의 하나가 되는 등 규모를 회복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고성지역에서 약 2년에 걸친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지면서 1920년에 건립된 불이문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무너지고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건봉사 터는 휴전 하며 민간인 통제선 북쪽에 속하게 되었다가 1989년부터는 민간인 출입이 가능해졌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3-682-8100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주차시설
가능
◎ 입 장 료
무료
◎ 화장실
있음
◎ 주위 관광 정보
⊙ 육송정 홍교
- 홈페이지
https://www.gwgs.go.kr/tou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해상리 1041
육송정 홍교는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해상리와 탑현리 경계에 위치한 석조 다리이다. 하천 폭 약 12.3m의 구간에 석축을 쌓고, 길이 10.6m의 단칸 홍예교를 설치하였다. 동쪽은 암반을 그대로 활용하고, 서쪽은 3단의 지대석을 쌓아 홍예를 구성했으며, 지대석은 장대석으로 이루어져 크기와 축조 방식이 매우 정교하다.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1704년 건립된 능파교와 유사한 시기로 추정되며, 1748년 편찬된 『간성군읍지』에도 관련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조선시대 석조 교량의 구조적 완성도와 조형미를 잘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 평가된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강원도 고성군] 화진포해수욕장 (1) | 2025.10.30 |
|---|---|
| [강원도 인제군] 내심적계곡 (1) | 2025.10.29 |
| [강원도 인제군] 진동계곡 (0) | 2025.10.29 |
| [강원도 인제군] 고원통계곡 (0) | 2025.10.29 |
| [강원도 평창군] 뇌운계곡 (0) | 202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