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제주도 제주시] 신산공원 신산공원 - 홈페이지 http://www.visitjeju.net/ -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신산로 92-12신산공원은 제주 시민들이 애용하는 도심 속 공원 중 한 곳이다. 신산공원 중심에는 올림픽 성화의 국내 도착을 기념하는 기념물이 세워져 있어 88 서울올림픽을 상징하는 공원이기도 하다. 또한, 1995년 10월에 광복 50주년 기념으로 제주 문물을 담은 총 1,250점의 95 제주타임캡슐을 매설한 뜻깊은 장소이다. 공원 내에는 제주 4·3 해원 방사탑과 6·25 참전 기념탑 등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다양한 조형물이 자리하고 있다. 신산공원은 넓은 잔디밭과 단풍나무를 비롯하여 예쁜 꽃밭과 나무들이 어우러진 도심 속에 있는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다. 특히, 봄에는 벚꽃들이 흩날려 아름답다. 신산공원.. 더보기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사(부여) 무량사(부여) - 홈페이지 https://muryangsa.net/ -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무량로 203충남 부여군 외산면에 자리한 천년고찰 ‘무량사’는 만수산 자락에 둥지를 틀었다. 신라 문무왕 때 범일국사가 창건한 사찰로 몇 차례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국내 제일의 아미타 기도 도량으로 사천왕문을 지나면 정면에 보물로 지정된 무량사 극락전이 보인다. 사천왕문은 무량사의 멋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위치로, 층 구분이 없는 2층 극락전과 오 층 석탑(보물), 석등(보물)이 일렬로 늘어서서 장관을 이룬다. 극락전 소조 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도 위용을 자랑한다. 무량사는 생육신 매월당 김시습이 입적한 곳이다. 경내에 그의 부도와 초상화가 있다. 행정구역 상 부여군에 속하지만 보령 시내에서 더 가.. 더보기 [충청북도 충주시] 충주 이시진 묘소 충주 이시진 묘소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 -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대전리1길 149-11충주 이시진 묘소는 충주시 동량면에 있으며 그의 신도비 뒤쪽의 낮은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이시진(1578∼1633)은 조선 시대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 기록된 효자로서 국가로부터 정려를 받은 인물이다. 이시진 묘소는 17세기 전반부터 20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전주 이씨 임영대군 효자공파 6세손인 이시진 묘부터 13세손인 이명규 묘까지 조성되어 있으며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시진의 무덤은 평면 사다리꼴 형태이다. 부인 전주 황씨와 풍산 심씨를 합장하였다. 묘역은 5대에 걸친 직계 장손들의 묘소가 차례로 조성되어 있고 방계 후손들의 묘도 함께 있는데 능선부에서 .. 더보기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오거리당산 고창오거리당산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하거리 당산고창읍에 조성된 오거리 당산은 동·서·남·북·중앙의 5방위에 당산을 조성한 것으로 자연 입석과 조형 입석으로 세웠다. 고창 오거리 당산은 1803년 3월에 고창현 중심지 세 곳에 동시에 조성되었다. 처음에는 오거리가 아니라 삼거리 당산이었다. 삼거리는 상, 중, 하 세 곳을 가리킨 말인데 세 곳에 화표석주의 당산을 세운 것이다. 현재는 기존의 삼거리 당산과 천북동과 교촌리의 자연 마을 당산을 포함하여 오거리 당산이라 한다. 상거리, 중거리, 하거리 당산은 조형 입석으로 당산을 삼았으며, 천북동과 교촌리 당산 은 자연 입석을 당산으로 삼았다. 조형 입석 가운데 하거리 당산은 진서화표의 명문이 있고, 중앙 당산은 미륵 당산으로 불교적 요소.. 더보기 [경기도 용인시] 동백호수공원 동백호수공원 - 주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5로 12 (중동)용인 동백호수공원은 공원 중심에 있는 호수를 보며 힐링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잔잔한 물결을 따라 걷는 산책길은 데이트를 즐기기에도, 나들이를 즐기기에도 안성맞춤이다. 공원에는 휴게공간, 운동공간, 음악분수, 야외무대 등이 조성되어 있다. 특히 야외무대에서는 버스킹 등 다양한 공연이나 문화행사를 진행한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용인시청 푸른공원사업소 동부공원관리과 031-6193-9061 - 쉬는날 연중무휴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주차시설 가능 ◎ 입 장 료무료 ◎ 화장실있음 ◎ 반려동물 동반 여행 정보 - 동반가능동물 전 견종 동반 가능 - 동반시 필요사항 목줄 착용 - 기타 동반정보 - 맹견의 경우, 입마개 착용 필수- 배.. 더보기 [전라북도 고창군] 상원사(고창) 상원사(고창)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상원사길 214방장산 기슭의 고창읍 월곡리에 자리한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의 말사이다. 상원사는 백제 성왕 23년(546)에 신라의 법사 고봉과 발용에 의해 건립하였다. 당시 신라는 진흥황 시기이었는데 전국적인 불사창건령에 따라 고봉과 발용은 임금의 밀명을 받고 백제 땅까지 들어와 사찰을 지은 것이다. 이후 현재까지 여러 차례 중수하였다. 대웅전은 18세기 중반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석가모니불을 주존으로 좌우에 약사불과 아미타불을 모시 상원사의 중심 건물이다. 대웅전은 규모가 작아 다른 사찰의 대웅전에 비해 단정하고 아담한 느낌을 준다.상원사는 호남지역 인사들이 다담을 나누는 명소로 알려져 있는데, 번잡한 세속을 떠나 그윽한 .. 더보기 [전라북도 고창군] 문수사(고창) 문수사(고창)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수면 칠성길 135문수사는 고창과 전남 장성과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문수산(621m) 중턱에 자리 잡고 있다. 고수면 소재지에서 고수도요지를 지나 위로 올라가면 조산 저수지가 나오고, 왼쪽 골짜기를 타고 6㎞ 정도 가면 문수사가 있다. 의자왕 3년(643)에 신라의 자장율사가 창건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신라의 자장이 당나라 청량산에서 수행을 하고 돌아오던 도중, 백제 영토인 이곳 문수산을 지나다가 청량산과 비슷하다 느껴 석굴에서 기도를 올렸고, 땅속에서 문수보살입상을 발견하고 이곳에 절을 지었다 전한다. 지방유형문화유산 제51호 문수사 대웅전, 제52호 문수사 문수전, 제154호 문수사 부도, 제207호 목조삼세불상, 제208호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이 .. 더보기 [경기도 용인시] 양지근린공원 양지근린공원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 산 32-11양지근린공원은 누구나 운동, 여가,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공원이다. 테스장, 다목적구장, 축구장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곳곳에 체력단력을 위한 운동기구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이들이 신나게 뛰어놀 수 있는 놀이터도 조성되어 있다. 이 공원에는 둘레길도 있는데, 이곳은 흙을 밟을 수 있는 숲길로 되어 있다. 양지근린공원은 시민들의 건강한 여가를 위한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더불어 꽃잔디가 곱게 핀 산책로를 부담 없이 거닐어 볼 수 있는, 사계절이 아름다운 공원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양지면행정복지센터 031-6193-5847 - 쉬는날 연중무휴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주차시설 가능 ◎ 화장실있음 ◎ 입 장 료무료 .. 더보기 이전 1 2 3 4 ··· 6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