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 양남 주상절리 전망대 경주 양남 주상절리 전망대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동해안로 498-13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된 양남 주상절리군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로 지난 2017년 10월 지어졌다. 양남 주상절리는 양남면 읍천리의 해안을 따라 발달한 주상절리군이다. 위로 솟은 주상절리뿐만 아니라, 부채꼴 주상절리, 기울어진 주상절리, 누워있는 주상절리 등 다양한 형태의 주상절리를 관찰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압권은 펴진 부채 모양과 같이 둥글게 펼쳐진 부채꼴 주상절리이다.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아주 희귀한 형태로, 지난 2012년 9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주상절리 전망대에서는 상절리 전망대 안에는 양남 주상절리를 비롯한 다양한 지질자원들에 대한 전시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지질 해설사가 .. 더보기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배리석불입상 경주배리석불입상 - 홈페이지 http://www.gyeongju.go.kr/tour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포석로 682-27 (배동) 경주시 배동에 있는 배리석조삼존불입상은 삼국시대의 불상으로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 시대에 쓰러져 선방사터 부근에 흩어져있던 것을 1923년 모아서 세운 것이다. 높이가 본존불 2.75m, 좌 협시보살 2.36m, 우 협시보살 2.36m에 이르며 다정한 얼굴과 몸 등에서 인간적인 정감이 넘치면서도 동시에 종교적 신비가 풍긴다. 본존불은 극락세계의 아미타여래로, 어린아이처럼 천진난만한 표정에 둥근 눈썹, 다문 입, 통통한 뺨은 자비로운 불성을 나타낸다. 왼편은 자비의 화신 관세음보살상으로 머리에 보관을 쓰고 미소를 띠고 있다. 오른쪽 연꽃 위에 선.. 더보기 [경상북도 경주시] 보리사마애석불 보리사마애석불 - 홈페이지 http://www.gyeongju.go.kr/tour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갯마을길 41-30 (배반동) 보리사는 경주시 남산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 불국사의 말사로 이 보리사 초입에 높이 2m의 바위벽에 새겨진 마애불이 있다. 보리사의 석불좌상보다 후대에 만든 것으로 여겨지며,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추정된다. 바위벽을 얕게 파 높이 1.5m의 공간을 만들고 그 안에 약 0.9m 정도의 작은 부처를 도드라지게 새겼다. 양쪽 뺨 가득히 자비 넘치는 미소를 간직하고 앉아 있는 불상은 전체적으로 조각 수법이 거친 편이다. 특히 위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선을 그은 것처럼 얕게 새겨 매우 독특한 조각 수법을 나타낸다. 불상의 높이는 1.1m에 지나지.. 더보기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 쌈밥거리 경주 쌈밥거리 - 홈페이지 http://www.gyeongju.go.kr/tour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계림로 9 (황남동) 신라의 찬란한 문화유산이 산적해 있어 도시 전체가 유적지라 할 수 있는 경주는 맛의 고장이기도 하다. 황남빵을 비롯해 해장국거리, 불고기단지, 매운탕단지 등 유명한 맛집 골목이 많다. 특히 대릉원 일대는 쌈밥 골목으로 명성이 자자하다. 주 메뉴인 쌈밥 정식은 맛깔스러운 생선과 고기, 집된장으로 끓여낸 된장찌개 등 푸짐한 반찬과 신선하고 다양한 쌈 채소가 제공되어 언제 즐겨도 맛있다. 가게별로 석쇠구이, 석쇠불고기쌈밥과 소불고기쌈밥 등 메뉴가 다양하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4-772-3843 - 쉬는날 가게마다 상이함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 더보기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 최준선생 생가 (경주최부자댁) 경주 최준선생 생가 (경주최부자댁) - 홈페이지 http://www.gyeongju.go.kr/tour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27-40 (교동) 경주 최씨의 종가로 신라시대 '요석궁'이 있던 자리라고 전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9대째 대대로 살고 있으며 1700년경 이 가옥을 지었다고 하지만 확실한 시기는 알 수 없다. 건물 구성은 사랑채·안채·대문채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중 대문채에는 작은방과 큰 곳간을 마련하였다. 사랑채는 안마당 맞은편에 있었으나 별당과 함께 1970년 11월 화재로 지금은 터만 남아있다. 사랑채터 뒤쪽에 있는 안채는 트인 ㅁ자형이나 실제로는 몸채가 ㄷ자형 평면을 가지고 있고 ㄱ자형 사랑채와 一자형 중문채가 어울려 있었다. 또한 안채의 서북쪽으로 별도로 마련한 가묘.. 더보기 [경상북도 경주시] 골굴암 타포니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골굴암 타포니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경북동해안지질공원 https://geotourism.or.kr/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기림로 101-5 골굴암은 경주시 양북면에 위치한 국내 최초의 석굴사원으로, 6세기 무렵 인도에서 온 광유선인 일행이 이곳에 있던 자연굴(타포니)을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굴암 일대에 분포하는 안산암질 응회암은 한반도와 붙어있던 일본이 잡아당기는 힘으로 떨어져 나가면서 동해가 형성되었을 때 만들어졌다. 잡아당기는 힘은 골굴암 일대에 영향을 주어 땅이 벌어지게 되었고, 벌어진 틈에 주변에 있던 화산퇴적물이 쌓이면서 안산암질 응회암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 암석은 비바람에 비교적 약해서 보다 쉽게 깎여 나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 암석이 비바.. 더보기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 화강암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남산 화강암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경북동해안지질공원 https://geotourism.or.kr/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순환로 341-126 (배동) 경주시의 남쪽에 위치한 남산은 금오봉(약 468m)과 고위봉(약 494m)을 중심으로 한 긴 타원형의 화강암 바위산이다. 화강암은 석재로 흔히 쓰이는 대리암이나 석회암에 비해 단단하고 비와 바람에 잘 깎여나가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남산의 수많은 문화재들이 오랜 시간 동안 잘 보존된 것은 화강암의 이러한 특성 덕분이라 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남산 화강암은 신라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재로 손꼽히는 석가탑과 다보탑을 만들 때도 쓰였기 때문에 신라인들이 남산 화강암을 문화재의 재료로 많이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신.. 더보기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 주상절리군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양남 주상절리군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s://geotourism.or.kr/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동해안로 494 양남 주상절리군은 경주시 양남면에 위치하며, 동해안을 따라 발달한 주상절리들의 발달규모 및 형태의 다양성을 인정받아 2012년 9월 25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주상절리는 주로 현무암과 같은 화산암에서 형성되는 육각기둥 모양의 돌기둥을 의미한다. 주상절리 명소로 유명한 제주도 중문 주상절리나 광주의 무등산 주상절리는 위로 솟은 주상절리이나, 이 곳 양남 주상절리군을 이루는 주상절리들은 1.7 km 정도의 짧은 해안 사이에 부채꼴 주상절리, 누워있는 주상절리, 기울어진 주상절리, 위로 솟은 주상절리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주상절리들이 모여 있다. 이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