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썸네일형 리스트형 [광주 남구] 승촌공원 승촌공원 - 홈페이지 http://www.grandculture.net -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588-43승촌보 서쪽에 위치한 승촌보공원은 영산강의 자유곡류 하천에서 형성된 우각호의 하중도에 조성되었으며 규모는 20만 평에 달한다. 행정구역 주소는 광주광역시에 속하는데 지형상 나주시 구역으로 보여 나주 승촌보라 불리기도 한다. 영산강을 따라 자전거 전용도로가 길게 이어지고 탁 트인 너른 승촌공원은 야외 산책하기 좋은 경관이 좋은 명소이다. 이외에도 공원 안에는 안내소, 승촌보, 승촌보캠핑장, 영산강문화관, 승촌파크골프장, 승촌보 선착장, 축구장, 연화원, 주차장이 있다. 이곳은 시내에서의 접근성이 매우 좋고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갖추고 있으며 캠핑장이 있어 당일치기도 1박 2일 여행 장소.. 더보기 [광주 남구] 승촌보교 승촌보교 - 홈페이지 http://www.grandculture.net/gwangju -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보길 90 (승촌동)승촌보는 나주평야 일대의 농업용수 확보와 홍수와 가뭄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된 보이다. 길이 512m의 보는 가동보 180m, 고정보 구간 332m로 차량 통행이 가능하며, 높이는 9m이다. 보의 형태는 나주평야에서 생산되는 쌀을 형상화하여 디자인되었다. 가로길이 50m와 30m의 2가지 형태의 수문이 각 2개씩 4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900만㎥의 저수량을 확보한다. 보의 좌측에는 800kw 소수력발전소가 설치되어 연간 464만kwh의 전력을 생산한다. 승촌보교는 승촌보 위로 차량과 사람이 모두 통행하는 교량이다. 승촌보교 위의 조형물은 나주평야의 쌀을 형상화 해.. 더보기 [광주 광산구] 마한유적체험관 마한유적체험관 - 홈페이지 https://www.gwangju.go.kr/gjhfm/contentsView.do?pageId=gjhfm67 - 주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북문대로 396-2 (신창동)국가사적으로 지정된 신창동 유적을 활성화하고 광주 지역 고대 마한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2022년 12월 개관하였다.체험관 내부에는 신창동 유적의 저습지와 중요 출토 유물, 토층을 재현하여 유적 발굴 조사 당시의 상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유적의 발굴 과정을 게임을 통해 쉽게 배워 볼 수 있다. 또한 물고기잡이, 활쏘기, 토기 복원, 가락바퀴를 이용한 실잣기, 현악기 연주 등 체험을 통해 2,000년 전 마한 사람들의 생활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체험 콘텐츠가 마련되어 있다. 광.. 더보기 [광주 남구] 영산강문화관 영산강문화관 -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보길 90 (승촌동) 영산강문화관은 자연과 사람이 함께 어우러지는 우리의 강, 영산강과 함께 미래를 꿈꾸는 공간이다. 영산강과 영산강 살리기 사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 그리고 남도의 역사, 문화, 생태를 주제로 다양한 체험과 프로그램을 강가의 조약돌을 밟듯 조약돌 하나하나에 이야기를 담았다. 조약돌과 함께 옛 추억을 거닐며 수변문화로서의 미래비전을 경험해 보자.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61-335-0866 - 수용인원 1회 관람 300명 - 쉬는날 월요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09:00~18:00 - 주차시설 있음 - 체험가능연령 누구나 - 체험안내 * 전시 - 희망나눔존 : 희망의 메시지.. 더보기 [광주 동구] 지산유원지 지산유원지 - 홈페이지 http://jisanpark.co.kr/ -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지호로164번길 35-1 (지산동) 지산유원지는 2016년 12월경 11년만에 모노레일 운행을 다시 시작하며, 재개장하였다. 1개의 레일을 달리는 모노레일 특유의 덜컹거림은 탑승객들에게 스릴을 즐기게 한다. 모노레일을 탑승하면 광주 시내 전경과 무등산 정상의 모습을 한눈에 구경할 수 있다. 모노레일은 리프트의 종착점에서 숲길로 50m 떨어진 산 중턱에서 출발해 팔각정이 있는 지산유원지 산 정상을 왕복하는 코스로 운행된다. 재개장 후 젊은세대 층을 중심으로 SNS와 입소문을 타고 광주 무등산에서 스릴을 즐길 수 있는 독특한 놀이시설로 인기몰이 중이다. ※ 소개 정보 - 개장일 2016년 12월 08일 - 문의및안내 .. 더보기 [광주 동구] 동명동 카페거리 동명동 카페거리 - 홈페이지 https://www.acc.go.kr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1899-5566 -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컬처마켓(Asia Culture Market/ACM)은 문화 상품과 관련한 모든 콘텐츠를 사고, 팔고, 보고, 즐길 수 있는 개방형 문화시장이다. 올해에는 나만을 위한 취향 테스트를 통한 개인 맞춤형(퍼스널) 아이템과 아시아 문화를 즐 길 수 있는 문화장터로 펼쳐진다. 지역의 문화 창작자와 함께하는 나전, 가죽, 라탄, 직조, 염색 수공예 체험부터 개인의 기호에 따라 만들어지는 문화상품까지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도시적 주제로 아시아와 지역을 연결하는 2023 아시아컬처마켓 에 여러분을 초대한다. ⊙ 무안요(광주) - 홈페이지 http:/.. 더보기 [광주 남구] 양림동 펭귄마을공예거리 양림동 펭귄마을공예거리 - 홈페이지 http://craftst.or.kr/ -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오기원길 20-13 양림동 펭귄마을공예거리는 양림동 주민 센터 뒤에 펭귄 모양의 이정표를 따라 좁은 골목길을 들어가면 70,80년대 마을이 전시장으로 변모한 곳으로 무릎이 불편한 어르신이 뒤뚱뒤뚱 걷는 모습이 펭귄 같다고 하여 이름 지어진 마을이다. 마을 주민들은 과거에 화재로 타 방치되어 있던 빈집을 치우고 버려진 물건을 가져와 동네 벽에 전시하기 시작했으며, 마을 담벼락에는 "그때 그 시절 살아있음에 감사하자" 고 새겨 놓았다. 최승효 가옥, 우일사 선교사 사택, 오웬 기념각 등의 역사 문화도 보유하고 있다. 마을 한가운데 있는 펭귄 주막은 주민들의 사랑방, 조그맣지만 필요한 물건들이 다 있다. 가죽 .. 더보기 [광주 동구] 삼애다원 삼애다원 -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 (운림동) 광주 증심사 입구의 왼쪽 무등산 자락에 위치한 삼애다원(三愛茶園)은 춘설차(茶)의 본고장이다. 춘설차는 녹차가 어떤 음식보다 심신 건강에 좋다는 의미로 의재 허백련(1891~1977) 화백이 붙인 이름이다. 이곳은 총면적 9만 9174㎡의 차밭으로, 증심사의 소유로 수백 년을 내려온 곳이다. 1912년 일제강점기 때 한 일본인이 일부를 인수해 본격적인 기업형 차밭으로 개발, 1937년에는 생산량이 연간 5,333kg에 이르렀다고 한다. 예부터 무등산 차는 구례의 지리산, 보성의 대원사 등의 차와 함께 최고의 맛을 인정받았다. 일제가 물러가고 차밭이 방치되자 한국화의 대가 의재 허백련 화백이 이를 맡게 된다. 의재는 차밭에 ‘삼애다원’이란 이름을..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