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동래구

[부산 동래구] 허심청 허심청 - 홈페이지 www.hotelnongshim.com - 주소 부산광역시 동래구 금강공원로20번길 23허심청은 편안하고 즐거운 온천욕과 휴식 및 체력단련을 통한 건강증진을 추구하는 새로운 유형의 도시형 온천 건강랜드로, 1991년 10월 부산시 도심 재개발 사업으로 탄생했다. 허심청의 온천탕은 전체 4,297.54m²로 3,000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동양 최대 규모의 온천시설이다. 대온천탕에는 장수탕, 회목탕, 청자탕, 동굴탕, 노천탕 등 40여 종의 효능별 욕탕과 계절에 따라 천연재료와 한방약재를 다르게 넣은 이벤트탕을 운영하고 있으며, 개인별 체질과 연령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입욕코스가 있다. 확 트인 초대형 온천탕과 자연채광이 가능한 천장, 예술적 조형미를 갖춘 아름다.. 더보기
[부산 동래구] 동래향교 동래향교 - 홈페이지 https://www.dongnae.go.kr - 주소 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로 103조선은 1392년(태조 1) 나라에서 교육진흥책을 위해 지방에 향교를 설립함에 따라 동래에도 동래향교가 설립되었다가 임진왜란 때 동래성 함락과 함께 불타버렸다. 임진왜란 이후 1605년(선조 38) 동래부사 홍준이 재건한 이후 1704년(숙종 30)에 동래부 동쪽 관노산 아래로 옮겨졌다가 1813년(순조 13) 현재의 위치로 옮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의하면 동래부가 되었을 때 동래향교에는 종 6품의 교수 1명과 학생 70명이 있으며, 향교의 유지와 관리를 위해 학전 7 결도 지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동래향교의 건물구조는 명륜당을 중심으로 반화루, 동재, 서재로 구성된 강.. 더보기
[부산 동래구] 금강공원 금강공원 - 홈페이지 https://geumgangpark.bisco.or.kr/geumgangpark/ - 주소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 155 (온천동)일본 상인이 금정산자락의 일부를 자신의 개인 정원으로 꾸며 만든 이곳이 광복 후 공원으로 지정되면서 ‘금강공원’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금강’이라는 이름은 금정산의 수려함이 금강산에 버금간다 하여 ‘소금강’이라고 불렸는데, 여기서 따온 이름이다. 도심 속에 위치해 있어 사계절 인적이 끊이지 않는 공원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휴식처로 사랑을 받고 있다. 공원 내에는 다양한 문화시설이 있다. 동래지역이 가진 전통민속예술의 발굴과 계승, 보급을 위해 1974년 9월에 개관한 부산민속예술관,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 해양자연사 전문 박물관인 부산해양자.. 더보기
[부산 동래구] 동래온천길(온천천 산책코스) 동래온천길(온천천 산책코스) - 주소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천로 451 도시철도 온천장역(부산광역시 동래구 중앙대로 1520), 도시철도 동래역(부산광역시 동래구 중앙대로 1324), 온천천 카페거리(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천로 451) 부산 동래온천길은 동래 온천천 산책길을 걸으며, 동래구의 주요 관광지(온천장, 명륜 1번가, 온천천 카페거리)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산책코스이다. 비교적 짧은 거리(5.65.km)지만 스탬프 투어(완주 코스, 만끽코스)를 상시 운영 중이어서 온천천과 동래구 주요 관광명소를 가볍고 즐겁게 돌아볼 수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1-550-4092 - 쉬는날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가능 - 이용시간 상시 운영 - 주차시설 없음(도시철도 온천장역·동래역 및 동해.. 더보기
[부산 동래구] 부산119안전체험관 부산119안전체험관 - 홈페이지 http://safe119.busan.go.kr/ - 주소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 117 (온천동) 부산 119안전체험관은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재난 발생 시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재난 유형을 경험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도심 속 종합 안전 체험관이다.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1개 체험 코스와 33개 전시실로 체험관이 운영되고 있다. 미취학 아동의 안전의식 학습관(횡단보도 안전 수칙, 연기 뚫고 탈출하기, 차량 갇힘 탈출하기, 지진 체험), 안전한 전기 사용 방법(전기의 이해, 소비전력, 대기전력, 전기 발전, 과전류), 도심 생활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 대처 방법(지하철 화재, 다중이용업소 화..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