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무주군

[전라북도 무주군] 백련사(무주) 백련사(무주) - 홈페이지 https://tour.muju.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백련사길 580백련사는 무주 덕유산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의 말사이다. 신라 신문왕 때 백련이 초암을 짓고 수도하던 중 그곳에서 흰 연꽃이 솟아 나와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이 절터에서는 광무 4년(1900)에 이하섭이 고쳐 지으면서 기념비를 세운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한국전쟁 때 건물들은 불에 타 없어졌으나, 경종 3년(1723)에 만들어진 것으로 전하는 백련사의 종은 자리를 옮겨 두어 남아 있다. 1968년에 요사를 건립하며 백련암으로 불리던 절 이름을 백련사로 바꾸고 30여 년 동안 중창 불사에 힘썼다. 대웅전은 앞면 5칸, 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 더보기
[전라북도 무주군] 인월담 인월담 - 홈페이지 무주관광 https://tour.muju.go.kr/tour/index.do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인월담은 일사대, 파회와 함께 무주구천동 3대 명소로 꼽힌다. 이곳은 신라시대 인월화상이 인월보사를 창건하고 수도한 곳이라 하여 이름 붙여졌다. 덕유산 봉우리를 배경으로 탁 트인 하늘과 어우러진 구천동계곡은 인월담에서만 볼 수 있는 장관이다. 방문객을 맞이하는 붉은색의 아담한 다리가 인상적이며, 숲 속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정자 '인월정'이 있다. 폭포와 반석이 자아내는 절묘한 풍광을 감상한 후, 인월담 하류로 발길을 돌리면 개울물이 암벽을 타고 크게 비폭하는 장면을 목격할 수 있다. 달빛 아래로 쏟아지는 은빛 같은 맑은 여울은 보는 이의 감탄을 자아낸다. 일월.. 더보기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구천동 월하탄 계곡 무주구천동 월하탄 계곡 - 홈페이지 무주관광 https://tour.muju.go.kr/tour/index.do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월하탄 계곡은 무주구천동이 품은 33경 중 15경이다. '월하탄'은 선녀들이 달빛 아래 춤을 추며 내려오듯 폭포수가 쏟아져 푸른 담소(潭沼)를 이룬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무주구천동의 제1경 나제통문에서 제14경 수경대까지를 외구천동, 제15경 월하탄에서 제33경 향적봉까지를 내구천동이라 하므로, 월하탄은 내구천동의 시작점이다. 덕유산국립공원 사무소를 지나 백련사 방면으로 500m가량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월하탄의 신비한 모습이 드러난다. 잔잔하게 흘러온 폭 50m의 계곡물이 암석단애를 타고 여덟 줄기로 쏟아져 내린다. 이곳의 암석단애는 높이 7m.. 더보기
[전라북도 무주군] 부남강변 유원지 부남강변 유원지 - 홈페이지 무주관광 http://tour.muju.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와 대유리, 굴암리를 거쳐 길이 약 13.5㎞의 금강천이 흐른다. 이곳은 대표적인 자연 발생 유원지로 다양한 경관과 아름다운 경치를 간직하고 있어 무주군에서 레저 스포츠로 인기를 얻고 있는 래프팅 관광지로 개발하였다. 대소 마을 강변을 비롯한 봉길 마을 백사장, 한티 마을 강변, 상굴 마을 강변, 하굴암 마을 백사장 등 강변 곳곳에 백사장이 형성되어 있다. 주차장과 화장실 등의 기본적인 편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으며 인근의 부남면 체육공원 안쪽으로 오토캠핑장도 갖추고 있다. 우뚝 솟은 절벽 사이로 강물이 흐르고 있어 여름철 래프팅 명소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래프팅 .. 더보기
[전라북도 무주군] 관음사(무주) 관음사(무주) - 홈페이지 무주문화대전 http://muju.grandculture.net/muju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양지길 92-38 (설천면) 관음사는 무주군 백운산 기슭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17 교구 본사 금산사의 말사이다. 관음사라는 절 이름은 1958년 안심 승려가 [관음사]라는 현판을 붙인 데서 비롯되었다. 현재 본전인 법보전은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 팔작지붕 겹처마 집이며, 그 옆으로 선방인 목우실과 요사가 있다. 법보전에는 1974년 관정, 성효례 승려가 충청남도 금산군 보석사에서 이전한 조선 후기 목조 관음보살을 비롯하여 고서와 1942년에 그려진 신중도와 산신도 등이 있다. 관음사 법보전 목조 관음보살 좌상은 유형문화재로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반 불.. 더보기
[전라북도 무주군] 백산서원(무주) 백산서원(무주) - 홈페이지 https://tour.muju.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풍면 북리길 40 (무풍면)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선시대 지방의 사립 교육기관이다. 무풍면 소재지에 있는 백산서원은 조선 문종 때 영의정까지 지내며 청렴하고 법을 잘 지켜 존경 받은 문효공 하연(1376~1453)을 기리기 위해 1821년(순조 21)에 창건되었다. 그 후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철거되었다가, 1905년(고종 42) 후손과 유림에 의하여 복원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서원 내부에는 강당과 함께 사당인 타진사, 백산사, 그리고 백산각이 있다. 타진사에 있는 하연과 정경부인 성산이씨의 영정은 조선 1428년(세.. 더보기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향교 무주향교 - 홈페이지 무주군 문화관광 https://tour.muju.go.kr/tour 문화재청 https://www.cha.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단천로 135 (무주읍) 향교는 공자와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교육기관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1894년 갑오개혁으로 근대 교육이 본격화되면서 교육적 기능은 폐지되었다. 무주향교는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전기 향교이다. 본래 무주군의 관아 북쪽에 있었는데 숙종 18년(1692) 호랑이의 피해가 많아 향로산 서쪽으로 옮겼는데 그 터가 너무나 습하여 순조 34년에(1834) 현재의.. 더보기
[전라북도 무주군] 칠연계곡 칠연계곡 - 홈페이지 https://tour.muju.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안성면 칠연로 608 칠연의총은 무주군 덕유산 통안 마을 은반대에서 0.1㎞ 지점 계곡 왼편에 있는 구한말 전사한 신명선 의병 부대의 유해를 합장한 무덤이다. 1907년 일본의 강압으로 정미칠조약이 체결되어 우리의 군대가 해산을 당하게 되자 일본의 침략에 울분을 참지 못하던 시위 보병들은 전국에 흩어져 항쟁을 벌였다. 이때 시위대 출신인 신명선이 덕유산을 거점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무주·장수·순창·용담·거창 등지에서 일본군과 싸우면서 수많은 공을 세웠다. 신명선 부대는 초기 창의할 때 불과 40여 명에 지나지 않았으나 점차 세력이 불어나 150여 명의 의병이 결집된 부대가 되었다. 신명선 부대는 1908년 4월,..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