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 썸네일형 리스트형 [광주 북구] 새인봉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새인봉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새인봉은 측면이 수직 절벽으로 이루어진 돔 형태를 보이는 해발 고도 488m의 봉우리로서 도곡유문암이라 불리는 화산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큰 규모의 수직절리와 함께 용암이 흐른 유상구조를 따라 수많은 쪼개짐면이 발달되어 있는데, 측면의 절벽은 수직절리를 따라 암반의 붕괴가 계속되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정상에는 동결과 융해의 반복으로 직경 20cm, 깊이 10cm 정도의 팬홀이 형성되어 있다. 새인봉의 명칭은 돔 상의 봉우리가 임금의 옥새 같다 하여 새인봉 또는 인괘봉이라 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62-613-7853 - 신용카.. 더보기 [광주 북구] 서석대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서석대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무등산의 최고봉인 천왕봉(1,187m)의 남서쪽에 위치한 서석대(1,050m)는 임석대(950m)와 함께 천연기념물인 무등산주상절리대에 속하며, 높이 약 30m, 너비 1~2m의 다각형 돌기둥 200여 개가 마치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 무등산의 대표적인 명소이다. 주상절리대를 구성하는 암석은 무등산응회암이라고 명명된 화산암으로서 중생대 백악기 후기(약 8,700~8,500만년 전)에 분출된 화성쇄설물로 형성된 용결응회암이다. 이 응회암이 천천히 식는 동안 부피가 줄어들며 수축될 때 인장력이 작용하여 주상절리가 만들어졌다. 이곳에서는 무등산이 광주를 품 듯 시가.. 더보기 [광주 북구] 시무지기 폭포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시무지기 폭포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무등산권지질공원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시무지기 폭포는 무등산의 최고봉인 천왕봉(해발 1,187m)에서 물줄기가 시작되어 해발 700m인 곳에 이르러 약 70m의 물줄기를 낙하하면서 장관을 이루는 폭포다. 폭포 주변을 이루는 암상은 무등산 응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폭포의 규모는 72m이며, 상단(35m), 중단(15m), 하단(32m)의 3단계로 나뉜다. 폭포는 중간까지 45도의 각도로 내려오다가 마지막 하단부 7m에서는 90도로 떨어지는 수직 폭포의 형태로 장관을 이루고 있다. 시무지기란 말은 『세 무지개』 즉 비가 그치고 햇살이 비추면 세 개의 무지개가 뜬다고 하여 붙.. 더보기 [광주 북구] 윤필봉 자연동굴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윤필봉 자연동굴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무등산권지질공원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윤필봉 자연동굴이 위치한 지역은 백악기의 미문상 화강암이 분포하는 곳이다. 무등산에는 크고 작은 천연동굴이 여러 개 있으나, 원암의 차이를 반영하듯 그 형태나 크기가 서로 다르다. 가장 잘 알려진 동굴은 원효계곡의 동쪽 의상봉 오른쪽 아래 우뚝 솟은 봉우리인 윤필봉(해발 400m)에 있다. 이 봉우리의 꼭대기에 천연굴이 있는데, 일명 안양굴이라고도 한다. 석굴의 규모는 높이 3.7m, 폭 13m, 길이 21.4m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62-613-7853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 더보기 [광주 북구] 의상봉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의상봉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원효사에서 정상을 바라보면 그 아래로 우뚝 솟은 봉우리가 의상봉(550m)인데 위는 완만하지만 서쪽 사면은 절벽으로 준수한 경관을 이룬다. 의상봉은 중생대 백악기 후기(약 8,300만 년 전)의 미문상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암상이 노출되어 있다. 의상봉에는 팬홀(panhole)과 토르(tor) 등의 풍화지형이 잘 관찰되는데, 비마족바위와 벼루바위의 팬홀이 잘 알려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1592~1598) 의병장인 김덕령 장군이 지왕봉의 뜀바위에서 말을 타고 여기까지 단번에 뛰어내려 생긴 말 발자국이 비마족바위라고 전해진다. ※ 소개.. 더보기 [광주 북구] 장불재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장불재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무등산권지질공원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장불재는 무등산 정상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정상부의 주상절리들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장소이다. 이곳은 과거 주빙하 기후의 영향으로 동결융해에 의한 사면 평탄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곳으로, 무등산 정상부, 특히 입석대와 연결되어 있어 이 지역이 과거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가를 알 수 있는 곳이다. 장불재가 형성된 시기는 약 5만 년~6만 년 전이며, 거의 평탄하면서 완경사인 장불재의 사면은 주빙하 환경에서 표토의 사면 이동이 일어나면서 토양 및 암괴 등 풍화 산물의 불규칙한 면들이 메워지면서 평탄하고 완만한 사면이 형성되었다. ※ 소개 정.. 더보기 [광주 북구] 지공너덜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지공너덜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무등산권지질공원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지공너덜은 무등산 정상 아래, 해발고도 약 1,000~1,100m 사이의 남쪽 사면에 위치하며, 폭 150m에 이르고 상부 경계가 아래로 들어간 혀 모양의 형태로 발달되어 있다. 너덜의 평균 경사는 20~35도이며, 너덜을 구성하는 암괴의 크기는 최대 4~5m에 이른다. 지공너덜은 남동쪽에 위치한 규봉 주상절리와 함께 문화재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는데, 인도의 승려 지공대사에게 설법을 듣던 라옹 선사가 이곳에서 수도하면서 지공너덜이라고 명명하였고, 지공대사가 여기에 석실을 만들고 좌선수도하면서 그 법력으로 억만 개의 돌을 깔았다는 전설이 있다.. 더보기 [광주 북구] 충효동 점토광물산지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충효동 점토광물산지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무등산권지질공원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풍암제길 14 (금곡동) 무등산은 중생대 화성활동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이 충효동 도요지 인근은 마그마가 굳어 만들어진 암석이 풍화된 토양(풍화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 가마터는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의 도자기가 생산되었던 곳으로, 함께 발견된 3m 가량의 도자기 파편층이 분청사기부터 백자까지 6단계의 변화를 오롯이 간직하고 있으며, 또한 이 지역에서 출토된 도자기를 지질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주변의 화강암 풍화토를 이용했음이 밝혀졌다. 이처럼 무등산 분청사기의 제작과 발달과정에는 무등산의 지질학적 특성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어 이곳을 무등산권 유네스코..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