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장 료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라북도 임실군] 소충사 소충사 - 홈페이지 https://www.imsil.go.kr/tour/index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성수면 산성로 725-23소충사는 구한말 정재 이석용장군과 그의 휘하에서 활동하던 28 의사를 배향하는 사우(祠宇)이다. 전북 임실군 성수면 오봉리산 130-1번지 일원에 부지 20,300평에 분묘 2기, 사당 20평, 기념관 43평, 관리사 20평 등의 시설을 2,365백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1992년부터 2002.11월까지 조성하였다. 항일투쟁과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순절하신 충의열사의 호국정신을 계승하기 위하여 시설한 곳으로 항일독립운동의 산 교육장으로 많은 참배객이 다녀가고 있는 임실군의 대표적인 보훈시설이다. 지의동(知義洞)과 동룡동(東龍洞)에 있는 28 의사의 묘소는 1988년.. 더보기 [전라북도 임실군] 영천서원 영천서원 - 홈페이지 임실군 문화관광 http://tour.imsil.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지사면 영천3길 33조선 중종(재위 1506∼1544) 때 기묘사화로 희생된 안처순을 중심으로 정환·정황·이대병 등의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안처순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지방학교를 발전시키고자 노력한 사람이다. 영천서원은 광해군 11년(1619)에 세웠으며, 숙종 12년(1686)에 나라에서 현판을 내려 사액서원이 되었다. 고종 5년(1868)에 철거되었다가 광복 후에 후손들이 다시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당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공부하는 장소인 강당 역시 맞배지붕으로 꾸몄으며,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으.. 더보기 [전라북도 임실군] 운서정 운서정 - 홈페이지 https://www.imsil.go.kr/tour/index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관촌면 관진로 61-20운서정(雲棲亭)은 승지 김양근(金瀁根, 1858∼1926)의 아들 김승희(金昇熙, 1892∼1958)가 부친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1928년 당시 쌀 3백 석을 들여 지은 누정이다. 남쪽으로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 축대를 쌓아 단을 만들고 단 위에 건축물을 배치하였다. 솟을 대문에 누마루를 갖춘 가정문(嘉貞門)을 통해 안으로 들어가 계단을 오르면 좌우로 동재와 서재를 배치하였고, 다시 축대를 쌓은 위에 운서정이 세워져 있다. 운서정은 정면 4칸, 측면 3칸의 주심포양식으로 20개의 주춧돌기둥이 나무기둥을 받치고 있으며 팔작지붕의 네 귀퉁이에 추녀를 활주(活柱)가 받치고.. 더보기 [경기도 김포시] 김포 장릉(인헌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김포 장릉(인헌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 홈페이지 http://royaltombs.cha.go.kr/ - 주소 경기도 김포시 장릉로 79선조의 5번째 아들이자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1580∼1619)과 부인 인헌왕후(1578∼1626)의 무덤이다. 인조반정(1623)으로 아들 능양군인 인조가 왕위에 오르자 대원군에 봉해졌고, 인조 10년(1633) 원종의 칭호와 함께 그의 무덤을 장릉으로 불렀다. 장릉은 같은 언덕에 왕릉과 왕비릉이 나란히 있는 쌍릉으로, 병풍석이나 난간석은 설치하지 않고 보호석만 둘렀다. 무덤 아래에는 영조 29년(1753)에 세운 ‘조선국원종대왕장릉 인헌왕후부좌(朝鮮國元宗大王章陵 仁獻王后부左)’라고 새긴 비각이 있다. (출처 : 문화재청)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1-.. 더보기 [전라북도 장수군] 남평문씨열녀비 남평문씨열녀비 - 홈페이지 http://tour.jb.go.kr/index.do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산서면 오산리 하오마을 입구 도로변남평문씨열녀비는 산서면 소재지에서 임실 성수면으로 가는 도로의 하오마을 입구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정려각 안에는 ‘열녀학생권희언처남평문씨지려’라고 새긴 비석과 남쪽 벽면에는 문 씨 정문기가 걸려 있다. 이 정문기의 내용에 의하면 남평 문 씨는 시집온 지 3일 만에 남편과 사별하고 홀로 살다가 양자를 두었으나 양자마저 병으로 죽게 되자 그도 3년 만에 죽었다. 그는 유언에서 내가 죽게 되면 내 남편의 무덤 옆에 묻어달라라고 하여 그 후손들이 문 씨의 유언에 따라 남편 무덤 옆에 나란히 묻어주고 이 비각을 세웠다고 한다. 현재 정려각은 높이가 70cm 정도.. 더보기 [전라북도 장수군] 뜬봉샘생태공원 뜬봉샘생태공원 - 홈페이지 https://www.jangsu.go.kr/tour/index.jangsu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수읍 물뿌랭이길 10-18수분 마을 뒷산(신무산) 계곡을 따라 2.5km 올라가면 금강의 발원천이 되는 뜬봉샘(飛鳳泉)이 있다. 이 뜬봉샘에는 근세조선개국조 이성계와 얽힌 설화가 있다. 태조 이성계가 나라를 얻기 위해 전국 명산의 산신으로부터 계시를 받으려고 먼저 팔공산(신무산)에 들러, 신무산 중턱, 아담한 곳에 단(壇)을 쌓고 백일기도에 들어갔다. 백일째 되는 날 새벽에 단에서 조금 떨어진 골짝에서 오색 찬란한 무지개가 떠오르더니 그 무지개를 타고 봉황새가 하늘로 너울너울 떠가는 것이었다.봉황이 떠가는 공중에서는 빛을 타고 아련히 무슨 소리가 들렸다. 정신을 차리고 .. 더보기 [경상남도 사천시] 모충공원 모충공원 - 홈페이지 http://toursacheon.net - 주소 경상남도 사천시 송포동 1144-1모충공원은 사천시 송포동 해안과 연접해있는 11만2천㎡의 천연지형을 이용한 자연공원으로 임진왜란 때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사천 선창에서 왜군을 물리치고 사천해전을 승리로 이끈 것을 기리고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모충공원은 숲이 울창하고 전망이 좋아서 바다 너머 멀리 모자랑포까지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모자랑포는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 5월 29일, 최초 출전한 거북선을 앞세운 이순신 함대가 적선 13척을 분멸하고 이동하여 밤을 샌 곳으로 난중일기에 기록되어 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공원에는 초석 110cm, 중대석 67cm, 비석 212cm 크기의 이순신 장군 추모기.. 더보기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 만옥정공원 창녕 만옥정공원 - 홈페이지 https://www.cng.go.kr/tour.web - 주소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8-34만옥정공원은 창녕공원이라고도 불리는 공원으로, 면적 1만㎡의 작은 공원이지만 지정문화재와 봄철 벚꽃이 장관을 이루는 곳으로 유명하다. 약 250년 전에 만옥정이라는 정자가 있었다고 하는데 그 당시에는 봄마다 명창 대회와 그네뛰기 대회가 열렸다고 전해진다. 화왕산으로 가는 등산로가 옆으로 나 있다. 공원 뒤쪽 언덕 위에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비석인 국보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가 있는데, 561년(진흥왕 22)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하며 원래 창녕읍 화왕산록에 있던 것을 1924년에 이곳으로 옮겨왔다. 공원에는 조선 후기의 관아 건물인 창녕객사(경상남도 유형문화재), 통일신라.. 더보기 이전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3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