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장 료 썸네일형 리스트형 [강원도 평창군] 성필립보생태마을 성필립보생태마을 - 홈페이지 https://www.ecocatholic.co.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 평창강로 896-21성필립보생태마을은 강원도 평창 해발 700m 고지에 위치한 천주교 수원교구 피정 시설이자, 환경생태농원이다. 생태농원을 운영하는 황창연 신부는 2000년 이곳에 생태 마을을 설립하였으며, 공사 기금을 쾌척한 고 김창린 신부의 세례명을 따 이곳의 이름을 성필립보생태마을이라 하였다. 생태 마을은 코로나 이후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인공적이지 않은 자연에서 얻은 재료로 정직하게 만든 음식이 정신적, 육체적 치유를 가져다준다는 신념으로 다양한 먹거리를 직접 가공, 판매하고 있다. 대표적인 먹거리로는 강원도 평창에서 생산되는 콩으로 직접 만든 청국장 가루가 유명.. 더보기 [대전 서구] 아름드리소공원 아름드리소공원 - 주소 대전광역시 서구 도안동 2377대전에 위치한 아름드리소공원은 조용한 분위기로, 산책로와 작은 정자가 마련되어 있어 휴식을 취하기에 좋다. 또한 넓은 호수와 푸른 숲으로 둘러싸여있어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하면서 가족과 함께 산책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이다. 어린이 놀이터, 운동 시설 등 여러 시설이 있다. ※ 소개 정보 - 쉬는날 연중무휴 - 이용시간 상시 - 주차시설 가능 ◎ 입 장 료무료 ◎ 주위 관광 정보⊙ 남선공원 - 주소 대전광역시 서구 남선로 66 (탄방동)남선공원은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규모는 약 15만㎡다. 산림 숲을 비롯해 각종 운동 시설, 산책로, 등산로, 명학소기념탑, 남선정 등이 갖춰져 있다. 공원은 대전시 지하철 탄방역과 용문역에서 가.. 더보기 [대전 중구] 중촌시민공원 중촌시민공원 - 주소 대전광역시 중구 중촌동 253-2대전 중촌동에 위치한 중촌시민공원은 철길에 가로막혀 잘 보이지 않지만, 한적하고 산책하기 좋은 길이 넓게 펼쳐져 있다. 원형의 작은 공간에서 소공연을 하기에도 좋으며, 생활체육시설, 아이들을 위한 놀이터, 공원의 크기에 비례한 화장실까지 공원 산책을 하기에 안성맞춤이다. ※ 소개 정보 - 쉬는날 연중무휴 - 이용시간 상시 - 주차시설 가능 ◎ 입 장 료무료 ◎ 주위 관광 정보⊙ 남선공원 - 주소 대전광역시 서구 남선로 66 (탄방동)남선공원은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규모는 약 15만㎡다. 산림 숲을 비롯해 각종 운동 시설, 산책로, 등산로, 명학소기념탑, 남선정 등이 갖춰져 있다. 공원은 대전시 지하철 탄방역과 용문역에서 가깝다... 더보기 [대구 달서구] 배실웨딩공원 배실웨딩공원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선원로23길 68 (이곡동)배실 웨딩공원은 ‘결혼은 축복이다’란 주제 아래 사랑의 프러포즈를 테마로 2018년 국토교통부 자원으로 달서구에서 조성한 웨딩 테마공원이다. 와룡산과 이어져있어 공원을 통해 등산도 가능하며, 여러 조형물이 있어 포토존으로 활용되고 있다. 산책을 즐기며 소중한 사람과 행복한 추억을 쌓을 수 있는 곳이다. ※ 소개 정보 - 쉬는날 연중무휴 - 이용시간 상시 ◎ 입 장 료무료 ◎ 주위 관광 정보⊙ 용강서원 - 홈페이지 https://www.daegu.go.kr/ -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선원로33길 101대구 달서구 와룡산 선원공원 초입에 위치한 용강서원은 상무헌 허득량(許得良)과 낙암 허복량(許復良)을 모신 재실이다. 조선 영조(1630.. 더보기 [대구 수성구] 이공제비 및 군수이후범선영세불망비 이공제비 및 군수이후범선영세불망비 - 홈페이지 https://www.suseong.kr/tour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천동로 117 (상동)대구의 신천이 흐르는 둔치 주변 이서공원에 한 채의 비각 안에 서 있는 3기의 비이다. 왼쪽에 있는 것은 이공제비로, 대구판관을 지낸 이서의 치적을 기리기 위해 주민들이 세운 것이다. 당시 대구는 하천이 중심부로 흘러 홍수 때마다 큰 피해를 당하였다. 조선 정조 즉위년(1776) 대구판관으로 부임해 온 이서는 주민들의 어려움을 알고 1778년 자기의 재산을 털어 제방을 쌓아 물길을 돌리게 하였다. 홍수의 피해에서 벗어난 주민들은 새로 만든 냇물을 신천이라 부르고, 제방의 명칭도 이공제라 한 후 정조 21년(1797)에 이 비를 세워 그를 기렸다. 원래 수성교 .. 더보기 [경상남도 진주시] 의기사와 의암 의기사와 의암 - 홈페이지 http://www.jinju.go.kr/02232/02818/02237.web?amode=view&idx=605&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 (본성동)의기사는 임진왜란 때 제2차 진주성 싸움에 패한 뒤 왜장을 껴안고 남강에 투신한 논개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다산 정약용의 중수기, 매천 황현 및 진주기생 산홍의 시판이 걸려있다. 의암은 진주성 촉석루 암벽 아래 남강 물속에 있는 바위로서 임진왜란 전에는 위험한 바위라 하여 위암이라고 불리었으며, 임진왜란 때 논개가 이 바위에서 왜장을 껴안고 투신한 후 의리를 세운 바위라 하여 의암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바위의 크기는 가로 3.65m, 세로 3.3m이며, 오랜 시일을 두고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조금씩.. 더보기 [대구 수성구] 고산서당 고산서당 - 홈페이지 https://www.suseong.kr/tour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로37길 39-3수성구 성동의 고산서당은 언제 누가 세웠는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퇴계 이황(1501~1570)과 우복 정경세(1563~1633)가 이곳에서 강학한 바 있으므로 1500년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숙종 16년(1690) 서당 뒤편에 사당을 지어 퇴계, 우복 두 선생의 위패를 모시고 고산서원이라 하였다. 영조 10년(1734)에는 동, 서재를 새로 지었으나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이후 고종 16년(1879) 지방 유림들을 중심으로 강학계를 조직하여 옛터에 강당만 다시 중건하여 고산서당이라 편액하였다. 2020년 5월에는 사당인 숭현사를 복원하고 달성십현 중 동.. 더보기 [경상남도 진주시] 촉석루 촉석루 - 홈페이지 http://www.jinju.go.kr -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남강(南江)가 바위 벼랑 위에 장엄하게 높이 솟은 촉석루는 영남(嶺南) 제일의 아름다운 누각임을 자랑한다. 고려 고종 28년(1241)에 창건하여 8차례의 중건과 보수를 거쳤던 이 누각은 진주성의 남장대(南將臺)로서 장원루(壯元樓)라고도 하였다. 전쟁이 일어나면 진주성을 지키는 지휘본부였고, 평화로운 시절에는 향시(鄕試:初試)를 치르는 고시장(考試場)으로 사용되었다. 6.25 때 불탄 것을 시민들의 힘을 모아 진주 고적 보존회를 만들어 1960년에 복원하였는데 건물은 팔작지붕에 다락루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누각 밑의 돌기둥은 창원의 촉석산에서 채석하였고 목재는 강원도 오대산에서 가져왔으며 루에는 4개의 현.. 더보기 이전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3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