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읍시

[전라북도 정읍시] 고택문화체험관 고택문화체험관 - 홈페이지 http://gotec.kr/file/index.php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공동길 58 고택문화체험관은 정읍시 산외면 '김동수 씨 가옥' 옆에 위치해 있으며, 정읍의 선비문화와 풍류예술을 콘셉트로 다양한 문화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시설로, 쉽고 재미있게 고택문화예술을 체험하며 우리 전통문화예술의 우수성을 이해할 수 있는 문화 및 교육시설이다. 전통문화의 신명과 풍류를 결합하여 현대인의 감성에 맞는 여가문화를 제공하는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문화예술 체험과 숙박을 체험하는 사람들에게 전국 어디에서도 경험하지 못할 감동 체험과 힐링의 시간을 제공한다. (출처: 고택문화체험관)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63-532-1248 - 수용인원 100명 - 쉬는날 .. 더보기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동헌 태인동헌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동헌길 24 (태인면) 동헌은 조선 시대 고을 수령이 업무를 보던 관청이다. 태인동헌은 조선 중종 때 태인 현감 신잠이 처음 세웠으며, 현재 건물은 순조 16년(1816)에 다시 세운 것이다. 건물 정면에는 고을을 맑고 편안하게 다스리겠다는 뜻의 청령헌을 새긴 현판이 걸려있다. 현판은 안동김씨 세도가이자 문장가로 유명한 김조순이 쓴 글씨다.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동헌 건물 중에서 규모가 큰 편은 아니지만,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곳으로, 건물 내부의 공간구성이 다양하다. 남쪽 전면에는 툇간이 일자로 있고, 그 뒤에 오른쪽으로 대청이 있으며, 왼쪽에는 온돌이 있다. 그 위에 다시 북쪽으로 툇간이 있는데.. 더보기
[전라북도 정읍시] 도계서원 도계서원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culture/index.jeongeup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도계1길 34-13 (덕천면)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에 학문을 연구하고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역 사림에 의해 설립된 사립 교육 기관이다. 도계서원은 정읍시 이평면 도계리에 있는 1673년(헌종 14)에 세워진 서원으로, 1868년(고종 5) 철거되었다가 1962년 중건되었다. 서원이 철폐된 후에는 실질적인 사당으로 존재하였다. 이곳에는 이희맹, 김제민, 김제안, 최안, 김흔, 김섬, 김습, 김지수 등을 배향하였다. 사우의 건물로는 오봉 김재민의 서당이었던 도계서원과 유물각이 있는데 유물각에는 오봉의 문집 목판 13매가 소장되어 있고, 태천집.. 더보기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향교 태인향교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향교2길 49-1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지방 교육기관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1894년 갑오개혁으로 근대 교육이 본격화되면서 교육적 기능은 폐지되었다. 태인향교는 세종 3년(1421)에 세워졌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과 명륜당, 만화루, 장수재 등이 있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여러 성현의 위패를 모셔 놓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앞면 3칸, 옆면 3칸의 규모로 지은 대성전의 맞배지붕은 책을 뒤집어서 엎어 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 향교의 특징은 외삼.. 더보기
[전라북도 정읍시] 강증산 탄생지 강증산 탄생지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신송길 34-2 (덕천면) 이곳은 증산교의 시조 강일순이 태어난 자리이다. 2021년 정읍시 향토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2023년 기준 현재는 터만 남아있고 경내는 전체 잔디가 깔려 있는 빈곳으로 경계면은 나지막한 벽돌 담장을 둘렀다. 강일순은 정읍 덕천면 객망리(현 신월리 신송마을) 시루봉 아랫마을에서 태어났다. 신송 마을은 정읍에서 덕천을 거쳐 황토현으로 가는 길에 정우와 신태인, 고부로 갈라지는 사거리 못미쳐 300m 지점에서 왼쪽으로 들어가는 마을이다. 이 마을은 노인들에게 속칭 손바래기로 잘 알려진 마을이다. 강일순은 진주 강씨이고 이름은 일순이며 자는 사옥이며, 호는 증산이다. .. 더보기
[전라북도 정읍시] 우화정(내장산) 우화정(내장산)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36 (내장동) 우화정은 내장산 국립공원 입구에 있는 연못안의 정자로 날개가 돋아 승천하였다하는 전설이 있어 우화정이라 부르며 거울같이 맑은 호수에 붉게 물들은 단풍이 비치는 경관은 한폭의 수채화 같다. 호수 주변에는 당단풍, 수양버들, 두릅나무, 산벚, 개나리, 산수유 등이 둘러싸여 장관을 이루고 있다. 우화정의 맑은 연못에는 1급수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버들치 떼가 유유히 노닐고 있다.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의 돌로 만든 징검다리가 예스러운 정취를 더해준다. 근처에는 내장사, 케이블카승강장, 단풍열차승강장, 내장산단풍터널이 있으며 내장산은 가을단풍으로 유명한 곳이다. 내장산 초.. 더보기
[전라북도 정읍시] 석탄사(정읍) 석탄사(정읍)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허궁실2길 186-125 석탄사는 정읍의 칠보면 용태봉 석탄의 동봉 암벽에 자리 잡은 전통 사찰이다. 창건 연대는 잘 알 수 없으나 오래된 절이다. 신라 27대 선덕여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도 한다. 선조 때 임신과 정유 난 때 병화로 타 버렸는데 영조 때 박잉걸이 다시 지었고, 1894년 갑오동학 혁명에 소실된 것을 가산 김수곤이 중건했었는데 1950년 6.25 사변에 다시 소실되고 말았다. 1973년 조병준이 재건하였다. 석탄사의 대웅전 앞 쪽으로 지맥이 뭉친 곳이 있는데, 이 곳을 무제등이라 하고 여기서 기우제를 지냈다고 하며, 인근 지역에 가뭄이 심하게 들 때면 고을원이었던 태인현감.. 더보기
[전라북도 정읍시] 다천사(정읍) 다천사(정읍)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1길 59 (태인면) 정읍시 태인면 소재지에서 있는 항가산을 300m 올라가면 중턱에 다천사가 있다. 500년이 넘는 느티나무가 있는 다천사는 옛날 절이 있던 자리라고 하는데 벽산스님이 1930년경 이 절을 창건했다. 항가산은 불교적 향기가 가득한 곳으로 항가산이라는 이름은 [항하사 : 모래와 같다]고 할 때의 [항]자에다, 석가모니의 [가]자를 합쳐 만들어진 산이다. 그 뜻은 수 많은 모래와 같이 부처님이 많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편 다천사라는 이름은 차를 끓여도 좋을 만큼 맑은 물이 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 이름은 예전에 이 곳에 절을 지으려 할 때 오래된 괴목나무 옆에 우..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