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어 안내서비스

[부산 동구] 정란각/문화공감수정 정란각/문화공감수정 - 홈페이지 https://ntchmgsugung.modoo.at/ - 주소 부산광역시 동구 홍곡로 75 (수정동)부산 동구 수정동에 있는 정란각은 1943년에 지어진 고급 일본식 건물로 문화재로 등재되어 있으며 최근 문화 공감 수정이라는 카페로 운영 중이다. 넓은 대지 안에 현관의 오른쪽에 위치한 벽돌로 지어진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은 일본식 목조 주택이다. 현재 1층은 일부 온돌방으로 개조되었으나 2층에는 툇마루와 장마루를 설치한 복도와 다다미방이 원형대로 남아 있고, 실내에 사용 중인 도코노마, 명장지, 다다미, 일본식 창호 문양 등 세부적인 장식이 원형대로 보존되어 문화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유명 여가수 뮤직비디오 배경으로 나와 널리 알려진 정란각(문화 공감 수정)은 근대 문화.. 더보기
[광주 북구] 충민사 충민사 - 홈페이지 https://tour.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050광주 충민사는 정묘호란 당시 안주성에서 청나라군과 싸우다 순절한 전상의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전상의 장군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공을 세운 장군으로 이후 난이 끝난 후, 곧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에 추증되고 이어서 안주로부터 출생지인 광주로 시신을 옮기어 동년 7월 26일 이곳에서 서쪽으로 보이는 평두산에 예장하였다. 1977년 광주 지역민들의 뜻을 모아 장군의 묘소를 지방문화재 기념물로 지정하고 1985년 충민사를 준공하였다. 이 곳 충민사에는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을 비롯, 수의문, 정려각, 장군의 유물(갑옷, 투구, 활, 칼, 교지, 완문, 완약)을 전시한 .. 더보기
[인천 중구] 상상플랫폼 상상플랫폼 - 홈페이지 https://sangsangplatform.or.kr - 주소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 33 (북성동1가)인천의 개항장과 월미로 일대는 1883년, 개항의 역사를 통해 외국으로 부터의 바닷길과 우리나라 육지를 잇는 ‘조선의 관문’ 역할을 해왔다.상상플랫폼은 차이나타운, 개항장과 인접한 ‘아시아 최대의 곡물창고’였다. 전 지역으로 곡물을 공급하던 곡물창고를 그 구조를 간직하고, 현대적인 감각을 더하여 인천에 문화와 예술을 공급하는 새로운 공간으로 거듭나게 되었다.이곳 상상플랫폼은 과거 인천이 세계와 조선을 연결하였듯, 인천의 바다와 원도심을 연결하며, 인천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복합문화관광시설로써 역할을 할 것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2-765-0730 - 이용.. 더보기
[인천 강화군] 갑곶돈대 갑곶돈대 - 홈페이지 https://www.ghss.or.kr/user/facilities/tour/gapgot.do -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해안동로1366번길 18돈대는 해안가나 접경지역에 돌이나 흙으로 쌓은 소규모 관측·방어시설로, 조선시대 강화도 해안에 돌로 쌓은 돈대 53개가 설치됐다. 갑곶돈대는 1679년 5월에 완성된 48 돈대 가운데 하나이다. 강화 돈대는 황해도·강원도·함경도 승군 8,900명과 어영청 소속 어영군 4,262명이 80일 정도 걸려서 쌓았다. 갑곶돈대는 망해돈대·제승돈대·염주돈대와 함께 제물진의 관할 하에 있었으며, 포좌가 있는 본래의 갑곶돈대는 옛 강화대교 입구 북쪽 언덕에 있었다. 지금 사적으로 지정된 갑곶돈대는 제물진과 강화 외성의 일부이다. 갑곶돈대에서는 강.. 더보기
[전라북도 장수군] 신광사(장수) 신광사(장수) - 홈페이지 https://www.jangsu.go.kr/tou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천천면 신광길 31신광사는 830년(신라 흥덕왕 5년)에 충남 보령 성주사에서 구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산문을 세워 학도들을 지도하던 무염대사가 이 지방에는 그럴만한 절이 없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고 새로운 인재가 항상 자라 나라는 뜻의 신광사를 짓게 되었다. 신광사가 창건된 지 733년이 되는 정유재란 때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51년이 지난 1549년(인조 27)에 전해선사에 의하여 중건되었다. 다시 헌종 15년(1849) 당시 장수현감 조능하의 시주에 의해 중창되었다.신광사 대웅전은 지방유형문화재로 전면 3칸, 측면 2칸 목조 맞배집으로 지붕은 너새라는 돌로 이어져 있으며 싸리나무 기둥으로 만든 명.. 더보기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 홈페이지 http://www.gyeongju.go.kr/tour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산 1-1용장사곡 삼층석탑은 경주시 남산 용장사곡 용장사 위에 있는 남북국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다. 용장사는 매월당 김시습이 를 쓰며 머물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현재 몇 군데의 석축이 남아있어 절터였음을 짐작하게 해줄 뿐이다. 절을 감싸고 뻗은 동쪽 바위 산맥의 높은 봉우리에 서 있는 이 탑은 2단의 기단 위에 세워진 3층 석탑이다.자연암석을 아래층 기단으로 삼고, 그 위로 바로 윗층 기단이 올려져 있다. 즉, 자연암석이 아래층 기단일 수도 있고 그 아래 바위산 전체가 또한 아래층 기단일 수도 있는 셈이다. 윗층 기단은 네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조각을 새기고 2장의 .. 더보기
[경기도 김포시] 김포 장릉(인헌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김포 장릉(인헌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 홈페이지 http://royaltombs.cha.go.kr/ - 주소 경기도 김포시 장릉로 79선조의 5번째 아들이자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1580∼1619)과 부인 인헌왕후(1578∼1626)의 무덤이다. 인조반정(1623)으로 아들 능양군인 인조가 왕위에 오르자 대원군에 봉해졌고, 인조 10년(1633) 원종의 칭호와 함께 그의 무덤을 장릉으로 불렀다. 장릉은 같은 언덕에 왕릉과 왕비릉이 나란히 있는 쌍릉으로, 병풍석이나 난간석은 설치하지 않고 보호석만 둘렀다. 무덤 아래에는 영조 29년(1753)에 세운 ‘조선국원종대왕장릉 인헌왕후부좌(朝鮮國元宗大王章陵 仁獻王后부左)’라고 새긴 비각이 있다. (출처 : 문화재청)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1-.. 더보기
[전라북도 부안군] 잼버리 공원 잼버리 공원 - 홈페이지 https://www.buan.go.kr/tour/index.buan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하서면 백련리잼버리 공원은 정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하서면 변산바다로 1822에 위치하고 있는 공원이다. 세계잼버리가 열렸던 야영지를 비롯해서 새만금 3 구역 현장을 조망할 수 있는 곳이다. 하서면에서 새만금 방면으로 향하는 도로 옆에 있어 접근성이 좋은 게 특징이고, 잼버리공원과 경관 쉼터가 함께 조성되어 있다. 공원에는 특이한 형태의 조형물과 잼버리공원이라는 현판이 달린 정자를 볼 수 있다. 조형물은 스카우트 항건을 서로 엮은 형태로, 스카우트 대원들 간의 끈끈한 형제애와 결속을 나타내며, 청소년들이 세계연맹의 휘장을 높이 들며 함께 꿈꿔 나가는 모습을 형상화하였다고 한다. 또한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