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라북도 전주시] 불정사(전주) 불정사(전주)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남고산성1길 53-140 (동서학동) 불정사는 전주 고덕산에 자리한 한국불교태고종 사찰이다. 서녘의 해지는 모습이 아름다운 사찰로 뒷산의 둥근 모습이 마치 부처님의 머리와 같기 때문에 절 이름을 그렇게 지었다고 한다. 원래는 부처님의 가르침이 빛이 난다고 하는 불광사였는데 어느 순간부터 불정사로 바뀐 것이다. 불정사는 숲이 깊고 그늘지다. 시원한 곳에 위치해 있는데 이끼가 끼어 오래된 느낌이 드는 그런 곳이다. 대웅전이나 산신각이 원래의 전통적인 전각에서 벗어나 있으며 종각 또한 마찬가지이다. 군데군데 석물이 많고 존상이 많이 배치되어 있다. 산과 나무가 띄엄띄엄 가려져 있어 사찰의 멋스러움을 더한다. 대웅전 내부에 위치한 아미타불좌상은 조선 후기 17.. 더보기 [전라북도 전주시] 동고사(전주) 동고사(전주)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낙수정2길 103-100 (교동) 동고사는 전주 승암산에 자리한 한국불교태고종 사찰이다. 동고사가 위치한 승암산의 등산로를 따라 오르면 점점 맑은 공기에 숨쉬기 편해지다가 막상 절집에 도착하면 발 아래로 전주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으로 붉은빛의 일몰과 화려한 야경이 그림같이 펼쳐진다. 절집은 대웅전을 중심으로 새가 날개를 활짝 펼친 듯 일렬로 늘어서 있다.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산굽이를 따라 하나씩 하나씩 전각을 세웠기 때문이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염불실과 심우당이, 그 밖으로 삼성각과 종각이 세워져 있어 마치 연꽃잎이 한잎한잎 벌어지듯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님의 머리모양을 닮았다는 승암산 중턱에 산굽이와 공존하는 전각이 배치되어 있는 동.. 더보기 [전라북도 정읍시] 다천사(정읍) 다천사(정읍)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1길 59 (태인면) 정읍시 태인면 소재지에서 있는 항가산을 300m 올라가면 중턱에 다천사가 있다. 500년이 넘는 느티나무가 있는 다천사는 옛날 절이 있던 자리라고 하는데 벽산스님이 1930년경 이 절을 창건했다. 항가산은 불교적 향기가 가득한 곳으로 항가산이라는 이름은 [항하사 : 모래와 같다]고 할 때의 [항]자에다, 석가모니의 [가]자를 합쳐 만들어진 산이다. 그 뜻은 수 많은 모래와 같이 부처님이 많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편 다천사라는 이름은 차를 끓여도 좋을 만큼 맑은 물이 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 이름은 예전에 이 곳에 절을 지으려 할 때 오래된 괴목나무 옆에 우.. 더보기 [전라북도 정읍시] 남산사(정읍) 남산사(정읍) - 홈페이지 https://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정신로 183-64 정읍 신태인간 지방도로변에서 500여m쯤 더 들어간 곳에 있는 낮은 산인 남산에 남산사가 있다. 남산에는 예로부터 반야선터라 하여 알려져 있는 도량으로 병자호란 이전에는 승려가 100여 명이나 기거한 큰절이었다고 한다. 이 절은 옛날에는 한적사라 했다. 지금도 절터였던 주춧돌과 기와장이 무수히 나오고 있다. 오랫동안 폐허가 된 사적지로 남아있던 절터에 1910년경 보살 이장녀가 작은 암자를 짓고 남산사라 이름하여 창건한 후 신도우, 정진성, 김금담 등 역대 주지가 있었고 1991년에는 학승, 도선 스님이 정진하였다. 지금은 남산의 야트막한 구릉에 맞게 낮은 모습의 대웅전이 있.. 더보기 [광주 남구] 사직 빛의 숲 사직 빛의 숲 -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사직길 49 (사동) ‘사직 빛의 숲’은 광주의 역사와 미디어라는 주제로 사직공원의 동물원 옛터, 사직단, 숲 산책로, 전망타워 등 사직단의 역사적 소재를 활용한 테마파크형 미디어아트 공원이다. 사직단에서 나라의 안녕과 번영, 그리고 풍요를 기원하는 사람들의 수많은 소망이 모여 밤하늘의 별이 되고 은하수가 되어 사직공원으로 내려와 빛의 숲을 완성한다는 스토리로 구성했다. 조명과 영상, 음악이 함께 어우러진 융복합형 콘텐츠를 구축하고, 시민들의 동작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아트를 통해 다양한 체험과 볼거리를 제공한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62-613-6123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 더보기 [경기도 안성시] 아쿠아필드 안성 아쿠아필드 안성 - 홈페이지 https://www.aquafield-ssg.co.kr/anseong/index.af - 주소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서동대로 3930-39 소금방, 릴렉스룸, 황토방 등 기존 찜질스파 시설에 새롭게 선보이는 고급 찜질 공간인 파동석룸과 한국 전통 찜질방식에 핀란드식 증기욕이 결합된 로울리 불가마까지 취향별로 즐기는 다양한 테마가 더해져 다채로운 찜질스파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국내 워터파크 최초로 선보이는 피쉬풀에서 열대해수어를 감상하며 즐기고, 아이들의 창의적인 놀이활동에 차원을 높이는 미디어 샌드풀, 웻바운스, 버블플레이 등 일상에서 한걸음 떨어진 아쿠아필드 안성에서 모든 것이 준비된 넉넉한 휴식의 마침표를 경험할 수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1-809.. 더보기 [전라북도 순창군] 구암사(순창) 구암사(순창) - 홈페이지 http://guamsa.modoo.at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봉덕길 131-144 (복흥면) 구암사는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서북단 노령산맥에 있는 사찰이다. 백제 무왕 37년(서기 636년) 숭제선사에 의해 창건하였고 1392년(태조 원년) 각운선사가 중창하였다. 구암사라 함은 사찰 동편 지점에 숫거북 모양의 바위가 있고, 대웅전 밑에는 암거북 모양의 바위가 있어 구암사라 명명하였다고 전해진다. 중요 문화재로는 월인석보(보물 제745-10호 지정. 1459년 세조 5년. 초간본)를 소장하고 있다. 월인석보는 세종대왕의 월인천강지곡과 세조의 석보상절을 합편한 최초의 불경 언해서로서, 한글 변천 과정과 인쇄 연구 등에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다. ※ 소개 정보 - .. 더보기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다목적댐 부안다목적댐 - 홈페이지 http://www.grandculture.net/buan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변산면 부안댐로 281 변산온천을 지나 중계계곡의 산골짜기에 있는 다목적 댐이다. 높이 47m, 길이 330m, 유역면적이 58㎢이며 저수량이 4,200만㎥이고, 용수 공급량이 3,600㎥로 총사업비 260억 원을 투자해 1996년 11월 6일 완공된 댐으로 주로 부안군민 및 고창군민의 생명수인 상수원으로 역할하고 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립공원 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수자원 개발 정책이 큰 댐 중심에서 중소 규모의 댐 개발 사업으로 전환하면서 축조된 우리나라 최초의 중규모 댐이다. 부안댐 건설로 부안군 변산면의 중계리와 대항리, 상서면 청림리가 수몰되었으며, 고향을 잃은 사람들의 마음을 .. 더보기 이전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2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