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장실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천수변공원 함평천수변공원 -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수호리 함평천 수변공원은 함평읍에 자리하고 있으며 바로 옆의 엑스포 공원과 연결되어 있어 엑스포 공원에 주차하고 주차장을 지나면 수변공원과 사방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곳은 물가에 조성된 공원으로 다른 곳보다 수양버들이 많이 있는 곳이며 그 외에도 다양한 수목들이 있어 사계절 다른 모습으로 여행객들을 부르는 곳이다. 봄에는 파릇한 새싹들과 함께 노란 유채꽃이 가득한 들녘을 바라볼 수 있다. 근처 산책길에는 매화도 꽃을 피워서 함께 어울린 모습이 장관이다. 여름엔 파란 하늘과 함께 수많은 목수국이 자태를 뽐내고 있어 그 아름다움은 이루 말할 수조차 없다. 하늘, 구름, 나무들이 목수국과 어울려 환상적으로 장면을 연출하고 있어 사진을 찍을 수밖에 없는 멋진 장소이.. 더보기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 고인돌선사체험장 화순 고인돌선사체험장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hwasun_dolmen_site/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화순 고인돌 선사체험장은 화순군 도곡면에 자리하고 있으며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재현해 놓은 곳으로 그 당시의 의식주 생활과 도구 제작, 농경 체험 등을 해볼 수 있는 체험장이다. 넓은 들판에 그 당시의 다양한 행태의 움막을 만들어 놓았고 교육장에서는 영상 자료를 통해 그 시대에 대해 간단한 설명을 해준다. 사냥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에서는 물매돌을 던지며 사냥 체험을 할 수 있고 생활문화 체험장에서는 도구를 이용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선사인의 소리 체험도 해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체험활동을 통해 선사시대를 직접 체험해 보고 그들의 슬기와 .. 더보기
[전라남도 화순군] 개천사 비자나무숲 개천사 비자나무숲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등광리 개천사 비자나무숲은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에 있는 비자나무 자생지이며, 비자나무숲을 개천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과거 이곳 사찰 주변에 조성했던 비자나무가 확산한 숲으로 화순 개천산과 천태산 개천사 주변에서 자생하고 있다. 비교적 넓게 분포하며, 생육상태 또한 양호한 비자나무 군락이다. 이 지역에는 수령 300년, 가슴 높이 줄기 둘레 2m 이상 되는 비자나무가 약 300주 정도 있는데, 특히 개천사 북쪽에 있는 한 그루는 수령 400년 정도로 추정되는 오래된 나무이다. 예로부터 비자나무는 귀하게 여겨져서 민가에서 많이 심었는데 열매는 구충제로 쓰거나 기름을 짜서 식용유, 등유, 도료 등으로 이용하였고, 목재는 건축재, 조선재, 가구재나 바둑판 등 .. 더보기
[제주도 제주시] 감사공묘역 감사공묘역 -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대로 362 조천읍 함덕리에 있는 감사공묘역은 조선 초기 한림학사와 전라감사를 역임한 영암 강영 선생의 묘역이다. 강영은 태조 7년(1398) 이방원이 일으킨 왕자의 난 때 왕위 계승 문제로 신덕왕후 소생 이방번과 이방석이 화를 입자, 1402년 제주도로 피신한 후 조천읍 함덕리에 정착하여 한림학사의 해박한 지식으로 지역주민 교육과 후진 양성에 기여하다 생을 마쳤다. 묘역 안에는 조천서원, 개명당 등의 건물이 있으며 봄철 겹벚꽃이 아름다워 이를 보기 위해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이며, 스냅사진 촬영 장소로도 인기가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64-740-6000(제주관광정보센터) - 쉬는날 연중무휴 - 이용시간 상시개방 - 주차시설 없음 ◎ 화장.. 더보기
[서울 강서구] 봉제산공원 봉제산공원 - 홈페이지 https://www.gangseo.seoul.kr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 산5-6 봉제산공원은 강서구 화곡동 산1번지 일대에 조성된 공원이다. 산 이름은 산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학이 알을 품고 앉아 있는 모습이라 하여 붙여졌고, 주봉을 매봉이라 부른다. 공원 이름은 처음엔 등촌동 백석중학교와 등촌초등학교 근방에서 과거에 흰 돌이 난다 하여 [백석]이라 불리다가 2004년 공원 명칭이 생소하다는 여론이 있어 산이름인 [봉제산]으로 알기 쉽게 변경되었다. 공원에는 울창한 산림과 산책로가 잘 조성되어 있으며, 식재된 주요 식물로는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소나무 등이 있다. 이 밖에도 공원에는 봉제산책쉼터, 자연체험학습원, 배드민턴장, 약수터 등이 있다. ※ 소개 정보 .. 더보기
[서울 관악구] 관악산자연공원 관악산자연공원 - 홈페이지 https://parks.seoul.go.kr -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27-1 관악산자연공원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위치한 관악산에 조성된 공원이다. 1968년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수많은 서울 시민들이 즐겨 찾는 서울의 명소이다. 관악산자연공원은 정자, 분수 등이 설치되어 있는 휴식공간인 호수공원, 어린이도서뿐만 아니라 환경도서도 보유하고 있는 숲속 도서관,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를 재현해 선보이는 전통 야외 소극장, 무장애숲길, 전망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재된 주요 식물로는 소사나무, 산구절초, 산개나리, 할미밀빵 등이 있으며 천연기념물로는 회나무, 노거수 굴참나무 등이 있다. 체험 가능한 산림 프로그램으로는 치유 산책, 명상, 걷기 등을 즐길 수 있는.. 더보기
[전라남도 진도군] 삐에르랑디공원 삐에르랑디공원 - 주소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금계리 산215-1 삐에르랑디 공원은 진도 초평항 옆 동기미 정상에 자리하고 있는 공원이다. 이곳은 1975년 진돗개 연구차 진도를 방문한 프랑스 대사인 삐에르랑디가 바닷길이 열리는 현상을 목격하고 프랑스 신문에 [한국판 모세의 기적]이라고 소개함으로써 이곳을 세계에 알린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흉상과 함께 기념비를 세우고 공원을 조성한 곳이다. 지금도 한 해에 두세 차례 바닷길이 열리는 진도의 신비 바닷길은 근처에 전시된 사진으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곳에서는 모도와 금호도 사이의 바다에 떠 있는 수많은 배가 아름다운 바다와 함께 장관을 이루는 모습을 바라볼 수 있는 곳이다. 도로변에 있는 이곳은 넓은 주차장과 한쪽에 정자가 마련되어 있어 편안히 휴식을.. 더보기
[서울 은평구] 금암문화공원 금암문화공원 -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53-5 금암문화공원은 은평구 진관동 구파발에 있는 공원으로 조선 후기를 빛냈던 할아버지와 손자의 이야기가 있는 은평의 역사 문화가 깃든 곳이다. 이곳은 조선시대 군사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파발꾼이 말을 바꿔타는 금암참이 있던 자리로, 왕이 능행 시 중간에 쉬어가는 길목이었다. 조선 22대 임금인 정조가 조부 숙종의 명릉을 참배하러 다녀오던 길에 휴식 차 이곳 금암발참에 들러, 조부 영조의 선정을 회상하면서 지은 글을 비문에 새긴 금암기적비가 있다. 조선시대 이곳을 지나는 사람은 누구든지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글이 새겨져 있는 하마비도 있다. 금암문화공원에는 LED 조명, 멀티미디어, 센서 등 첨단 IT 기술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놀이와 게임 교육을 통해 흥미를..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