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장실

[경기도 파주시] 해마루촌 해마루촌 - 홈페이지 https://www.paju.go.kr - 주소 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동파리 1098​민통선은 민간인 출입 통제선의 준말로 한반도 비무장 지대의 남방 한계선으로부터 남쪽으로 5~20km의 거리를 동서로 잇는 선을 뜻한다. 파주에는 민통선 내 마을이 세 개 있다. 판문점의 대성동 자유의 마을, 통일촌(군내면), 해마루촌(진동면)이 그것이다. 그중 가장 마지막으로 조성된 막내 마을이 해마루촌이다. 해마루촌은 통일대교 지나서 꽤 더 들어가는 파주시 진동면 동파리에 있다. 휴전선으로부터는 남방 6.4km, 남방한계선으로부터는 4.4km 지점이다. 그처럼 북과 가까이에 있음에도 특별한 긴장감 없이 한적한 시골 마을 분위기이다.해마루촌은 주민들이 동파리를 우리말로 재해석해 동(東)은 해, 파.. 더보기
[경기도 파주시] 용상사(파주) 용상사(파주) - 홈페이지 https://tour.paju.go.krr - 주소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용상골길 403파주시 월롱면 월롱산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 일승종의 사찰로 고려 현종이 창건하였다. 1018년(현종 9) 40만의 거란군이 개성까지 쳐들어오자, 현종은 민복 차림으로 이곳 월롱산에 피신했으나, 다행히 강감찬 장군이 귀주에서 승리하자 환궁하였다. 현종은 이곳을 기념하기 위하여 절을 짓고 왕이 머물렀다는 뜻으로 용상사라 하였다고 한다. 그 뒤 1445년(세종 27) 덕은이 중건하였으며,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에는 이 절에 승병들이 머물면서 왜군을 섬멸하여 그 시체가 이 골짜기에 가득 찼으므로 지금까지 무덤골이라고 불린다. 그 뒤의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는다. 1945년 8·15 .. 더보기
[경기도 파주시] 성혼선생묘 성혼선생묘 - 홈페이지 https://tour.paju.go.kr - 주소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향양리조선 중기 성리학의 대가인 우계 성혼(1535∼1598) 선생의 묘이다. 성혼은 명종 6년(1551) 생원·진사의 초시에는 모두 합격하였으나 복시에 응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같은 고을에 사는 이이와 사귀게 되면서 평생의 친구가 되었다. 하지만 학문 성향에서는 이황을 지지하여 이이와 선조 5년(1572)부터 6년간에 걸쳐 사단칠정에 대한 논쟁을 벌여 유학계의 큰 화제가 되었다. 그는 덕행이 뛰어나 선조대 초부터 여러 번 관직이 주어졌으나 학문에만 전념하다가 이이의 권유로 이조참판에 올랐다. 임진왜란 때에는 우참판에 이르고 선조 27년(1594)에는 좌참판에 이르렀다. 그러나 당시 영의정 유성룡과 .. 더보기
[전라남도 나주시] 한수제 한수제 - 홈페이지 https://www.naju.go.kr/tour/ - 주소 전라남도 나주시 경현동금성산 아래 경현리와 성안을 이어주던 길목인 한수제 일대는 크고 넓적한 바위가 많아 예로부터 나주 시민들이 시원한 금성산 경치를 즐기며 휴식을 취하던 놀이터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등산로 입구 우측으로 벚꽃길이 조성되어 있어 봄이면 화려한 벚꽃을 구경을 할 수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한국농어촌지사 나주지사 061-330-9500나주시 관광마케팅팀 061-339-8725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가능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상시 개방 - 주차시설 가능 ◎ 입 장 료무료 ◎ 주차요금무료◎ 주위 관광 정보⊙ 나주글램핑어스 - 홈페이지 https://www.instag.. 더보기
[서울 서대문구] 백련사(서울) 백련사(서울)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백련사길 170-43서대문 백련산 자락에 있는 천년고찰 백련사는 신라 경덕왕 6년(747)에 진표율사가 창건하였다. 당시는 정토사라 하였는데 조선조 정종 원년에 백련사라 개칭하였다. 조선 2대 임금인 정종이 왕위를 태종에게 물려주고 난 뒤에 요양차 이곳에서 머무르기도 했다. 조선 임금 세조의 딸 의숙옹주가 20세에 남편을 잃고 비통함을 달래기 위해 돌아다니다가 여기서 해동묵(엄나무)을 보고 인생의 참뜻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 후 의숙옹주의 원당으로 정하면서 이름을 백련사로 바꾸었다고 한다. 일설에 의하면 경복궁에서 볼 때 서쪽에 있어서 서방정, 정토사라고 하였는데 어느 여름날 연못에서 갑자기 하얀 연꽃이 피어올라 백련사라고 명칭을 바꾸었다고 전한다. 선조 때 임.. 더보기
[서울 구로구] 이씨레물리노공원(구로근린공원) 이씨레물리노공원(구로근린공원) - 홈페이지 http://www.grandculture.net -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가마산로25길 21 (구로동)구로근린공원은 2008년 8월 지역 주민들을 위한 휴식 공간으로 건립되었다. 이곳은 구로구민회관 등의 다양한 문화 예술 공간을 끼고 있어 가족들의 문화 나들이 공간으로 적합하다. 공원 입구에는 구로구와 자매도시인 프랑스 이씨레물리노시와의 우정을 다지는 조형물이 있다. 또한 구로근린공원을 중심으로 대공연장, 야외무대, 분수대, 실내 쉼터, 야외 벤치들이 모여 있으며, 인근 영림중학교의 담장 개방으로 생긴 학교 공원까지 이어진다. 구로근린공원은 구로거리공원, 구로도서관과 10분 내외의 거리에 있는 아트밸리길의 시작점이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맞닿아 있다. 가.. 더보기
[경상남도 창원시] 3.15해양누리공원 3.15해양누리공원 -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남동1가 47-4마산만 해안로를 따라 걷기 좋은 3.15 해양누리공원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남동에 있다. 반월 중앙동, 해운동, 월영동 사이 해변을 따라 서항부두, 제1부두, 중앙 부두 공간을 공원으로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개방하였다. 마산만 바다를 배경으로 조성된 3.15 해양누리공원은 크게 레포츠 공간, 중심 공간, 문화 예술공간, 역사상징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다. 레포츠 공간은 그라운드골프장, 테니스장, 농구장, 바닥분수 물놀이장 놀이터 등 다양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곳이고 중심 공간은 대공연장, 잔디공원, 해양 신도시와 연결된 보도교가 있다. 마산항 근대역사 박물관이 있는 문화 예술공간과 민주주의 전당이 있는 역사상징 공간도 둘러.. 더보기
[서울 중구] 백범김구선생상(백범 광장) 백범김구선생상(백범 광장) - 홈페이지 https://www.junggu.seoul.kr/tou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 남산공원 백범광장 내백범김구선생상(백범 광장)은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가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이자 정치가인 김구의 항일구국운동과 통일국가수립을 위해 노력한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해 1969년 8월 남산공원 백범광장 안에 설립한 동상이다.그가 암살당한 뒤 2달 만에 김구선생동상건립추진위원회가 설립되면서 동상 건립논의가 시작됐다. 장소는 일제강점기 조선신궁 터였던 남산공원으로 정했다. 동상은 국내외 각계에서 보내온 찬조금으로 생존 시 만들어진 석고 흉상을 바탕으로 조각가 김경승과 민복진이 조각하여 높이 10m로 만들었다. 1960년에 결성된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의 주도하에 1969..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