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광주 북구] 무등산 정상3봉 (무등산 국가지질공원) 무등산 정상3봉 (무등산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무등산권지질공원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무등산의 최고봉인 천왕봉(1,187m)이 위치한 정상부는 지왕봉과 인왕봉을 포함하는 3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동~남서 방향의 능선을 형성한다. 정상 일대에 병풍처럼 늘어선 암석지형은 무등산 응회암이 풍화와 침식에 의해 잘 드러난 주상절리대이다. 무등산 응회암은 중생대 백악기 후기(약 8,700~8,500만 년 전)에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한 화산암으로서, 화산폭발 시 뜨거운 화성쇄설류에 의해 만들어진 용결응회암이다. 천왕봉에 올라서면 광주뿐 아니라, 담양, 영암, 나주, 전북 순창 등 호남 일원이 한눈에 들어오며 맑은 날엔 지.. 더보기
[광주 북구] 무등산 풍혈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무등산 풍혈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풍혈(wind hole)은 여름에 서늘한 바람이 나오고 겨울에 따뜻한 바람이 나오는 바위틈이나 구멍을 말한다. 여름에 너덜지대로 유입된 공기가 지하의 바위틈을 통과하여 나오는 순간 따뜻한 공기를 만나 단열팽창으로 급속히 냉각되어 냉혈이 만들어지고, 겨울에는 땅속 바위에 유입된 공기가 따뜻해지고 가벼워져서 밖으로 나오면 주변보다 온도가 높아 온혈이 된다. 무등산 풍혈은 바깥 기온과 풍혈 내부의 온도가 최대 27도 차이를 보인다(평균 20도 차이). 누에봉에서 꼬막재 사이 해발고도 900~1,000m 사이 지점에서 20개 이상이 발견되었다. ※ 소개 정보 .. 더보기
[광주 북구] 새인봉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새인봉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새인봉은 측면이 수직 절벽으로 이루어진 돔 형태를 보이는 해발 고도 488m의 봉우리로서 도곡유문암이라 불리는 화산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큰 규모의 수직절리와 함께 용암이 흐른 유상구조를 따라 수많은 쪼개짐면이 발달되어 있는데, 측면의 절벽은 수직절리를 따라 암반의 붕괴가 계속되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정상에는 동결과 융해의 반복으로 직경 20cm, 깊이 10cm 정도의 팬홀이 형성되어 있다. 새인봉의 명칭은 돔 상의 봉우리가 임금의 옥새 같다 하여 새인봉 또는 인괘봉이라 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62-613-7853 - 신용카.. 더보기
[광주 북구] 서석대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서석대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무등산의 최고봉인 천왕봉(1,187m)의 남서쪽에 위치한 서석대(1,050m)는 임석대(950m)와 함께 천연기념물인 무등산주상절리대에 속하며, 높이 약 30m, 너비 1~2m의 다각형 돌기둥 200여 개가 마치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 무등산의 대표적인 명소이다. 주상절리대를 구성하는 암석은 무등산응회암이라고 명명된 화산암으로서 중생대 백악기 후기(약 8,700~8,500만년 전)에 분출된 화성쇄설물로 형성된 용결응회암이다. 이 응회암이 천천히 식는 동안 부피가 줄어들며 수축될 때 인장력이 작용하여 주상절리가 만들어졌다. 이곳에서는 무등산이 광주를 품 듯 시가.. 더보기
[광주 북구] 시무지기 폭포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시무지기 폭포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무등산권지질공원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시무지기 폭포는 무등산의 최고봉인 천왕봉(해발 1,187m)에서 물줄기가 시작되어 해발 700m인 곳에 이르러 약 70m의 물줄기를 낙하하면서 장관을 이루는 폭포다. 폭포 주변을 이루는 암상은 무등산 응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폭포의 규모는 72m이며, 상단(35m), 중단(15m), 하단(32m)의 3단계로 나뉜다. 폭포는 중간까지 45도의 각도로 내려오다가 마지막 하단부 7m에서는 90도로 떨어지는 수직 폭포의 형태로 장관을 이루고 있다. 시무지기란 말은 『세 무지개』 즉 비가 그치고 햇살이 비추면 세 개의 무지개가 뜬다고 하여 붙.. 더보기
[전라남도 화순군] 운주사 층상응회암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운주사 층상응회암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 운주사 주변의 돌들은 중생대 백악기에 화산에서 분출된 화산재와 돌덩이가 켜켜이 쌓이면서 만들어진 응회암이다. 이곳의 석불과 석탑은 보통의 화강암으로 만든 것과는 달리 비교적 납작하고 형태가 뚜렷치 않다. 그것은 이 석불과 석탑이 운주사 주변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응회암층을 그대로 떼어내 만들었기 때문이다. 옛 선조들은 층의 형태로 잘 깨지고 부스러지기 쉬운 이 응회암의 암석학적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석탑과 석불을 제작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운주사의 석불과 석탑에는 주변 암석의 지질학적 특성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어 이곳을 무등산권 유네스.. 더보기
[광주 북구] 윤필봉 자연동굴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윤필봉 자연동굴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무등산권지질공원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윤필봉 자연동굴이 위치한 지역은 백악기의 미문상 화강암이 분포하는 곳이다. 무등산에는 크고 작은 천연동굴이 여러 개 있으나, 원암의 차이를 반영하듯 그 형태나 크기가 서로 다르다. 가장 잘 알려진 동굴은 원효계곡의 동쪽 의상봉 오른쪽 아래 우뚝 솟은 봉우리인 윤필봉(해발 400m)에 있다. 이 봉우리의 꼭대기에 천연굴이 있는데, 일명 안양굴이라고도 한다. 석굴의 규모는 높이 3.7m, 폭 13m, 길이 21.4m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62-613-7853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 더보기
[광주 북구] 의상봉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의상봉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geopark.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50 (금곡동) 원효사에서 정상을 바라보면 그 아래로 우뚝 솟은 봉우리가 의상봉(550m)인데 위는 완만하지만 서쪽 사면은 절벽으로 준수한 경관을 이룬다. 의상봉은 중생대 백악기 후기(약 8,300만 년 전)의 미문상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암상이 노출되어 있다. 의상봉에는 팬홀(panhole)과 토르(tor) 등의 풍화지형이 잘 관찰되는데, 비마족바위와 벼루바위의 팬홀이 잘 알려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1592~1598) 의병장인 김덕령 장군이 지왕봉의 뜀바위에서 말을 타고 여기까지 단번에 뛰어내려 생긴 말 발자국이 비마족바위라고 전해진다. ※ 소개..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