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경상북도 울릉군] 용출소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용출소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s://ulleung.go.kr/geo/kr/main.do -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 화산이 함몰되어 칼데라 호수가 형성된 이후, 투수율이 높은 부석들이 호수 내에 퇴적되어 이들은 지하수 저장고의 역할을 하게되었다. 스며든 지하수가 투수율이 높은 부석 퇴적층을 따라 이동하다가, 나리분지 외곽부에서 불투수층(조면암)을 만나게 되면서 지표로 솟아올라 용출소를 형성하였다. 용출소는 샘(지하수가 저절로 지표로 솟아난 것)에 해당하며 유량이 '2만 톤/일)'에 이른다. 수온은 연중 일정한 편이며 평균 10.2℃인 저온성 지하수에 속한다. 수소이온동도(pH)는 8.1~8.3으로 약 알칼리성이며, 용존산소(DO)는 7.2~9.4mg/L, 수질유형은 알.. 더보기
[경상북도 울릉군] 저동해안산책로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저동해안산책로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s://www.ulleung.go.kr/tour/index.do -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저동 해안산책로는 울릉도 초기 화산활동 당시에 만들어진 화산암이 분포하며, 주로 현무암에 해당한다. 베개용암, 클링커, 암맥, 기공과 행인 등 다양한 화산학적 특징과 해안폭포, 해식동굴 등 다양한 지형학적 특징을 볼 수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4-791-2191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주위 관광 정보 ⊙ 울릉도 유람선 - 홈페이지 http://www.ulleung.go.kr/tour -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길 14 도동항에서 출발하여 울릉도 섬 주변을 돌.. 더보기
[경상북도 울릉군] 천장굴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천장굴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울릉도·독도 지질공원 http://ulleung.go.kr/geo -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천장굴은 독도 동도의 중앙에 위치한 해식동굴로 우물과 같이 뻥 뚫려있다. 다양한 방향으로 발달한 단층들로 인해 함몰된 지형이 풍화·침식 작용을 받아 형성된 침식와지(웅덩이처럼 움푹 패인 땅)로 본다. 천장굴 급경사 지역 좌측 끝부분에 자라는 독도 사철나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울릉도 시설관리사업소 054-790-6572~4 - 쉬는날 연중무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애완동물동반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주위 관광 정보 ⊙ 독도 - 홈페이지 외교부 독도 http://dokdo.mofa.go.kr K-.. 더보기
[경상북도 울릉군] 태하 해안산책로 및 대풍감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태하 해안산책로 및 대풍감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s://www.ulleung.go.kr/geo/kr -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태하리 태하 해안산책로는 황토굴 옆 교량을 올라가면 만날 수 있으며, 교량 벽면에는 태하 마을 이야기 및 포토존으로 꾸며져 있다. 태하 해안산책로는 조면암과 집괴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해풍에 의해 특이하게 침식된 지형이 발달하여 수려한 해안절경을 자랑한다. 특히 이곳에는 타포니가 발달해 있는데, 해풍에 포함된 소금이 암석 틈으로 들어가 화학적 풍화작용으로 만들어진 벌집처럼 구멍이 생긴 지형을 말한다. 한편 태하향목관광모노레일을 6분 정도 타고 올라간 후 산책로를 20분 정도 가면 울릉도 등대(태하등대) 및 향목지질스카이워크가 있다. 향목지질스카이워.. 더보기
[경상북도 울릉군] 학포해안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학포해안 (울릉도, 독도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s://www.ulleung.go.kr/ -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학포길 166-29 학포는 아름다운 해안과 더불어 울릉도 개척 역사를 기록한 유적이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학포해안에는 해변을 따라 집괴암, 응회암, 조면암층이 분포되어 있는데, 상대적으로 단단한 조면암층은 파도에 의해 침식되지 못하고 남아 곶(바다로 튀어나온 육지)을, 집괴암과 응회암층은 풍화와 침식에 약해 깎여져 해변 쪽으로 움푹 들어간 만(바다가 육지로 들어간 곳)을 형성한다. 또한 학포해안에는 해식절벽이 발달하는데, 수직방향으로 발달한 주상절리 아랫부분이 침식되면 절벽 위쪽이 중력에 의해 붕괴되는데,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가파른 절벽이 만들어진다. 인근 학포야영장을 .. 더보기
[경상북도 울릉군] 황토굴 (울릉군, 독도 국가지질공원) 황토굴 (울릉군, 독도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s://www.ulleung.go.kr/geo/kr/ - 주소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태하리 화산이 폭발할 때 뿜어져 나온 화산재들이 굳어져 형성된 응회암이 파도에 의한 차별침식을 받아 형성된 해식동굴이다. 동굴의 크기는 높이 6m, 폭 32m, 길이 44m로 바닥은 평탄하고 천장은 반구형 또는 둥근 덮개모양이며, 천장을 이루는 조면암은 냉각되는 과정에서 수축하여 울퉁불퉁한 벽면을 만들었다. 동굴 내부 응회암이 붉은색을 띠는 이유는 응회암에 포함된 광물이 변질되는 과정에서 철이 빠져나와 생성된 산화철 입자가 응회암에 골고루 퍼져있기 때문이다. 옛날 울릉도로 파견된 관리들이 실제 울릉도를 다녀왔다는 증거로 이곳의 향토와 향나무를 바치게 했다고 전해지며.. 더보기
[부산 사하구] 낙동강하구 (부산 국가지질공원) 낙동강하구 (부산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 - 주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남로 1240 (하단동)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위치한 낙동강하구 지질명소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문화재보호구역이다. 낙동강하구는 모래와 자갈이 쌓여 수면 밖으로 드러나있는 크고 작은 연안사주와 넓은 갯벌이 펼쳐져 있고, 대마등, 맹금머리등, 장자도, 신자도, 백합등, 도요등, 진우도로 불리는 크고 작은 연안사주들이 장관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낙동강하구 지질공원은 을숙도 낙동강하구탐방체험장에서부터 시작하여, 낙동강에코센터, 낙동강하굿둑, 장림포구, 홍티포구, 아미산 전망대, 다대포해수욕장까지 이어지는 지질공원으로, 낙동강하구에코센터는 지질공원 안내센터로서 다양한 지질 유적 전시와 영상, 하구답.. 더보기
[부산 사하구] 두송반도 (부산 국가지질공원) 두송반도 (부산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 - 주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다대동) 두송반도는 부산 사하구 다대포항 동쪽 해안에 위치하며, 약 8천만 년 전인 백악기 말에는 바닷가가 아닌 공룡들이 노닐던 산기슭의 평원지대였다. 두송반도에는 눈에 잘 띄는 붉은색 퇴적층은 물길 주변의 범람된 진흙이 굳어져 만들어진 이암 퇴적층이며, 회색 또는 황갈색의 석회암층은 석회질이 굳어 만들어진 것이다. 두송반도 지질공원에는 크고 작은 물길과 평원에 쌓인 퇴적층, 호숫가 퇴적층, 석회질 고토양, 공룡알 화석, 나무화석, 생흔화석 등 다양한 지질유산이 산재해 있는 곳이다. 과거 지진활동이 기록된 다양한 산출 상태의 쇄설성 암맥과 고지진암이 관찰된다. 이곳에서 관찰되는 캘크리트.. 더보기

반응형